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마켓

속보

더보기

[자본시장법 개정後]④-1 우리가 증권사? 종합금융투자사로 발돋움

기사입력 : 2013년09월12일 13:37

최종수정 : 2013년09월12일 13:40

<그래픽: 송유미 미술 기자>
[뉴스핌=이에라 기자] 자본시장법이 시행되면서 대형 증권사들이 종합금융투자회사로의 도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시동을 거는 가운데 해외 시장에서도 장기 성장 동력을 만들겠다는 포부도 갖고있다.

최고경영자(CEO)들은 우물안 개구리에서 벗어나 한국판 골드만삭스, 맥쿼리 같은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IB)을 꿈꾸며 관련 사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한국투자證 "IB 노하우 활용‥2015년 아시아 톱5 IB목표"

한국투자증권은 2015년 아시아 TOP5 IB 진입을 목표로 업계 최고 IB업무 노하우를 활용해 기업신용 공여 업무 활성화, 해외 헤지펀드 유치 등의 성공을 일궈내겠다고 다짐했다.

기업신용공여 업무는 기존에 IB에서 쌓은 경쟁력으로 토탈 솔루션 제공자로서의 자금공급원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다. 기업공개(IPO) 및 부동산 PF 등을 연계해 최고의 IB영업 기반을 활용, 기존 대출 금융기관과 차별화된 타겟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업무 수행 조직으로 현 직제상 기업금융본부와 프로젝트금융본부를 선정했다. 향후 상황에 따라 리테일로 확장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강화를 위해서서 올해 상반기 영업인력 및 트레이더 보강, 신 PBS·증권수탁·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추진 등 공격적인 영업활동을 하고 있다. 실제 PBS 부문은 최근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3월 시장 점유율은 1.5%에서 7월 13.3%로 4개월간 887%나 급성장했다.

향후에도 해외 헤지펀드의 국내 유치, 해외 트레이딩 회사 대상 파이낸싱, 헤지펀드 투자를 위한 신상품 도입 추진 등을 위해 노력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과 런던, 홍콩, 싱가포르 등 전세계 주요 금융허브 도시에서 현지법인은 운영하며 쌓은 네트워크는 글로벌IB로의 도약을 지원할 예정이다. 홍콩법인의 경우 도이치 증권 등 해외 유수 IB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 인력을 영입하고 본사 자기자본 투자부서와 협력, 범중화권 IB사업을 전개한다는 포부다.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외국계 헤지펀드를 대상으로 전담중개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기업신용공여 분야에서는 증권 본연의 업무와 연계, 대출 등을 통한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KDB대우證 "해외사업 중점…PBS, 미래 성장동력"

KDB대우증권은 국내시장을 벗어나 해외사업에 중점을 두는 한편 PBS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개정 자본시장법 통과에 따른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각 부문별 대비에 나섰다. 특히 기업신용공여 및 ATS 사업에서도 초기에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로 업무에 매진하고 있다.

신용공여는 이미 기업여신 TF를 만들어 본격적인 활동에 대한 준비를 하며 대출이 필요한 중견기업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당국에 NCR규제 완화 등에 대한 건의도 지속적으로 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다자간매매체결회사(ATS)는 지속 가능 경영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 당국에 규제 완화에 대한 건의를 진행할 생각이다. PBS 부문은 업무 수행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이를 확대, 개선하는 과정에 진입했다.

김기범 KDB대우증권 사장은 "아직 국내 헤지펀드 시장이 초기 단계지만 빠른 성장이 예상되고,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콩을 중심으로 해외사업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는 대우증권은 올 들어 몽골현지법인 설립 및 인도네시아 eTrading증권의 경영권 인수 등 속도를 높였다. 

김 사장은 "향후 해외시장별로 차별화시켜 진출을 진행할 것"이라며 "선진시장은 PI, PE를 통해 부동산, 부실채권(NPL) 등에 대한 직접투자 및 금융상품화를 통한 Sell-down을, 인도네시아 등의 대형 신흥국의 경우 궁극적으로 종합증권업 영위를 목표로 진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정적인 수익 기반 확보를 위해 리테일 자산관리 영업도 고삐를 늦추지 않을 생각이다.

◆우리투자證 "차별화 강점으로 글로벌 IB 발돋움"

우리투자증권은 40여 년의 전통을 바탕으로 자산관리, IB, 트레이딩 등 핵심 사업영역에 대한 균형과 획기적 사업모델 변화를 통해 글로벌IB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기업신용공여 업무와 관련해서는 기업 운영자금대출이나 일반 담보 대출 업무보다는 인수금융과 같이 기업신용공여 업무를 통해 다른 부가적인 비즈니스로 연계되는 딜, 유동화를 통해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는 딜 위주로 진행할 계획이다.

신규 비즈니스 업무 수행을 위해 전사적 공조로 기업신용공여 TF를 조직해 이미 운용하고 있다. 과거 종금라이센스를 통해 기업여신을 쌓았던 경험으로 IPO, M&A 등 IB 서비스 부문에서 국내 최고의 경쟁력을 갖고 있어 기업신용공여 분야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간다는 포부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먼저 프라임 브로커리지 전담 부서를 설립했고 업계 최대 규모의 리테일 대여풀 보유 능력을 활용해 관련 사업을 더 활성화 시키겠다는 의지다.

김원규 우리투자증권 사장은 "최근 채권자본시장(DCM)과 주식자본시장 (ECM) 침체로 전통적인 인수 시장에서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동안에도 인수금융, 자원개발, 구조화 금융 등 Private Sector의 선전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실적을 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는 고객에게 유리한 자금조달, 고객이 원하는 딜 구조 등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기업 신용공여 또한 고객에게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이를 통해 진정한 투자은행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틱톡, 세계 최초 시각 인식 AI 공개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 字節跳動)는 언어 지시가 아닌 시각을 이해해 동영상을 제작하는 '비디오월드'라는 이름의 AI 솔루션을 공개했다. 바이트댄스 산하 더우바오(豆包) AI 대형 모델 팀은 베이징교통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과 공동으로 제작한 비디오월드를 발표했다고 중국 제일재경신문이 11일 전했다. 오픈AI가 공개한 AI 동영상 생성 모델인 소라(Sora)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관련된 동영상을 제작한다. 이에 반해 비디오월드는 텍스트나 음성이 아닌 시각 정보만으로 동영상을 제작한다. 시각 정보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AI 솔루션인 비디오월드가 처음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종이 접기 혹은 넥타이 매기 등의 복잡하거나 세밀한 동작은 언어로 명확히 표현하기 어렵다. 비디오월드는 AI가 인간 혹은 사물의 동작을 시각으로 인식해서 동영상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학술 연구 프로젝트로 현재 새로운 기술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에 있을 뿐이고, 제품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바둑 및 로봇 제어 환경 시뮬레이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실제 세계 환경에서는 아직 미비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비디오월드는 바둑 게임에서 프로 5단 수준의 실력을 달성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 작업을 수행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바이트댄스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비디오월드를 현실 세계의 범용 지식 학습기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우바오는 바이트댄스가 2023년 8월 발표한 AI 챗봇이다. 현재 중국 내에서 딥시크에 이어 사용자 수 2위에 올라 있는 AI 대형 모델이다. 더우바오팀은 바이트댄스 내부에 2023년 만들어졌다. 더우바오팀은 최첨단 AI 대형 모델 기술 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연구 방향은 딥러닝, 강화 학습, 대규모 언어 모델(LLM), AI 음성 인식, AI 시각 인식, AI 인프라, AI 보안 등이다. 바이트댄스가 공개한 비디오월드 시연 화면 [사진=제일재경신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2-11 11:30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