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③> 신경영 20년, 공영(共榮)의 길
[뉴스핌 Newspim] '[CSV; 삼성의 진화, 품격경영] 삼성DNA..열린경영-1'에서 이어집니다. 2007년 이 회장은 신년사에서 "지금 우리를 대표하는 사업들은 순환의 고리를 따라 가까운 장래에 중국·인도·동남아지역으로 옮겨가게 될 것"이라며 "이를 대비해 반도체와 휴대폰 등의 뒤를 이을 신사업의 씨앗을 뿌려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회장의 고민은 이로부터 3년 뒤 구체화됐다. 2010년 '삼성의 5대 신수종 사업'이 발표됐다. ▲태양전지 ▲2차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바이오·제약 ▲의료기기 등이다. 삼성은 2020년까지 이 분야에만 23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중 최근 부각되고 있는 것중에 하나는 '2차 전지'다. 삼성은 일본 기업들은 물론 국내에서도 LG보다 후발 주자였다. 하지만 이제 삼성과 LG가 신기술을 내놓으며 세계 1,2위를 다투는 상황이 됐다. 일본 기업들은 이미 뒤쳐졌다. 이 역시 실패에 인색하지 않은 삼성의 DNA가 만들어낸 결과다.
이런 맥락에서 삼성의 실패사를 재해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각에서 재기되고 있다. 단적인 사례는 바로 자동차 사업이다.
사실 삼성의 자동차 사업 실패는 삼성 내부에서 유독 꺼리는 '트라우마(trauma)'다. 삼성이 실패한 사업중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영역이기 때문이다. 자동차 사업에 대한 얘기는 사실상 '금기'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신수종 사업중 2차전지는 차세대 자동차인 '전기차'의 핵심부품이다. 때문에 삼성의 자동차 사업 가능성은 언제나 펜딩 이슈다.
최근까지 삼성 측은 '냉장고 외에 바퀴 달린 것은 하지 않는다' 등의 표현으로 자동차 사업 가능성을 일축해왔다.
최근 한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박상진 삼성SDI 사장은 현대차와 전기차 협업 관계를 묻는 질문에 "현재로서 현대차와 진행하고 있는 관계가 없다"며 "현대차는 삼성이 자동차 사업에 관심이 없다고 하는 것에 대해 아직 의심을 품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삼성이 자동차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은연 중에 또다시 강조한 것으로 그만큼 삼성 내부에서는 '삼성은 자동차 사업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표현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는 것으로 비춰졌다.
삼성에서 자동차 TF(테스크포스: task force )에 참여했던 이남석 중앙대 경영대학 교수는 "삼성의 입장에서 자동차 사업은 영원히 잊어야 할 실패 사례가 아니라 오히려 자산화(資産化)해 그로부터 많은 교훈을 얻어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어떻게 하면 전자 뿐 만이 아닌 새로운 사업 분야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가' 하는 교훈을 과거 자동차 사업에서 얻을 수 있다면, 삼성의 자동차 사업은 실패였다는 멍에를 벗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삼성의 새로운 유망 사업으로서도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1990년 삼성 종합화학 기획팀으로 입사해 삼성그룹에서 승용차사업 추진 프로젝트팀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 세상을 바꿀 신제품-신기술..열린 경영
비즈니스에는 영원한 적도 없고, 영원한 친구도 없다. 경쟁자와도 필요하면 손을 잡아야 한다. 삼성은 주로 사업 진출 초기 일본 기업들과 손을 잡았다. 전자사업을 시작할때도 일본기업과 손을 잡으면서 여론이 좋지 않았던 적도 있다. 삼성은 그렇게 해서 빨리 배웠다. '패스트 팔로워' 전략이다.
삼성은 최근 경쟁사와 손을 잡는 이른바 '열린 경영'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열린경영은 후발주자도 가리진 않는다. 경쟁을 협력으로 바꿔 윈윈 구조를 구축하는 게 열린 경영의 핵심이다.
최근엔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자인 SK하이닉스와 손을 잡았다.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 1, 2위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현재 보유 중인 반도체 관련 모든 특허를 공유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2011년 IBM과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를 체결한 이후 부품과 세트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협력해왔다. 지난해에는 오스람과 특허소송을 종결하며 크로스 라이선스와 함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자본 투입을 통해 협력 구조를 형성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일본 샤프의 지분 3%를 취득했고, 자금난을 겪고 있는 국내 스마트폰업체 팬택에도 투자했다.
치열한 특허전쟁을 벌이고 있는 애플과도 언젠가는 '협의' 하는 방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관측이 중론이다. 치열한 싸움은 협상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방편일 뿐이다.
애플도 삼성에겐 '패스트팔로워' 전략의 대상이었다. 실제로 애플은 빨리 따라잡혔다. 아이폰을 내놓고 IT 업계에 지각 변동을 일으킨 애플조차 이제 점유율 측면에서 삼성에게 뒤쳐지는 신세가 됐다.
신기술, 신제품이 세상이 나오면 업계에는 언제나 지각 변동이 나타났다. 애플이 만든 아이폰의 등장으로 노키아, 블랙베리 등 휴대폰 강자들이 속수무책으로 쓴 맛을 봤다. PC 시장은 움츠려들기 시작했고, 네비게이션, PMP 등은 유용성을 상실했다.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의 부품들은 '모바일'로 집중화됐다. 혁신으로 무장한 '퍼스트무버'가 주는 '충격'이다.
삼성전자가 '퍼스트무버'를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장에 충격을 준 사례는 사실 많지 않다. 이는 삼성이 지속가능성장을 하기 위한 가장 큰 과제이기도 하다.
설봉식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명예교수는 공저 '왜 삼성인가'를 통해 "삼성의 기술경영은 신경영 선언 후 연구개발(R&D)투자와 그 혁신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라며 "신기술은 위험도나 불확실성을 안고 있지만 선두차 효과(bandwagon)에 힘입어 그 기업은 급속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별 취재팀=이강혁·김양섭·고종민 기자>
[뉴스핌 Newspim] (i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