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마윈 "돈은 책임감…젊은이에게 투자해 세상을 바꾸자"

기사입력 : 2014년09월24일 10:20

최종수정 : 2014년09월24일 10:38

알리바바 회장의 교훈…"앞서 생각하고 주체적으로 돈 벌자"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돈은 '개처럼' 벌어도 좋다고 했다. 조건부이긴 했다. '정승처럼' 써야 한다는. 그런데 요즘은 개처럼 벌어 개처럼 써도 내가 번 것이면 아무 상관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도 사실.

그러나 역시 돈은 '정승처럼' 벌고 쓰는 게 옳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도 최근 한 신문 인터뷰에서 "옛날에는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쓰면 되는 세상이었지만, 요즘은 개처럼 벌면 그냥 개에 불과하다"고 말했고, 전 세계의 스포트라이트를 집중적으로 받고 있는 마윈(馬雲, 잭 마) 알리바바홀딩스 회장 회장 역시 '윤리없는 돈'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마윈 알리바바홀딩스 회장은 이미 부자였지만 그룹의 주력사인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를 뉴욕 증시에 성공적으로 공개하면서 '떼돈'을 벌었다. 하반기 뉴욕 증시의 기대작이었던 알리바바는 기대를 꺾지 않고 세계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인 250억달러(한화 26조125억원)를 끌어 모았다. 주가도 급등하면서 몸값도 구글에 이어 두 번째로 단숨에 뛰어 올랐다.

중국 항저우의 영어 강사였던 마윈 회장이 회사를 세워 땀흘린지 15년 만에 중국 최대의 갑부, 세계적인 갑부가 되었으니 좀 쉴 만도 하고 돈으로 생을 즐기려 할텐데도 별로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마윈 알리바바홀딩스 회장.(출처=월스트리트저널)
마 회장은 23일(현지시간) 빌 클린턴 전 대통령 부부가 세운 자선단체 '클린턴 글로벌 이니셔티브' 10주년 기념 행사 사흘째 참석해 돈과 행복, 인생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밝혔는데 가히 '정승'의 삶의 자세를 보여줬다해도 될 만하다.

마 회장은 다섯 가지 교훈을 들려줬다.

(출처=마켓워치)
첫 번째는 "앞서서 생각하라(Think ahead)"이다.

그는 "우리는 현재 성공했지만 그래서 지금 위대한 일을 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나는 15년 전에 이미 이 꿈을 꾸었다"고 했다.

몇 년 전 만해도 월마트 경영진과 만나 그가 "10년 안에 월마트보다 알리바바를 더 크게 만들겠다"고 했을 때엔 다들 미친 생각으로 여겼지만 인터넷을 통해 그것을 이미 실현했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돈은 행복이 아니다. 그것은 책임감이다(Money isn't happiness-It's responsibility)"

마 회장은 "내가 갓 졸업하고 중국의 한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지 시작했을 때 한 달에 버는 돈이 20달러였고 그건 나에게 환상적이었다"라고 회상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100만달러를 갖고 있다면 굉장히 운이 좋은 사람이다. 그런데 1000만달러를 갖고 있다면 문제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만약 10억달러 이상을 갖고 있다면 그건 당신에게 책임감 그 자체다. 사람들은 당신이 그 돈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방식으로 쓸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후룬리포트에 따르면 마윈 회장의 자산은 1500억위안(약 25조5000억원)에 달한다.

그는 또한 사업 성공의 두 자기 비결이라면 정직과 투명성이라고도 했다. "고객이 행복하면 직원들도 행복하고 주주들 또한 행복해질 수 있다"면서 "나의 고객들은 영원히 떠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는 "기대하지 못했던 것을 기대하라(Expect the unexpected)"라는 조언이다.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인 '포레스트 검프'에 나오는 유명한 말인 "인생은 하나의 초콜릿 박스와 같다'는 말을 원용했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누구도 당신이 무엇을 얻게 될 지는 알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여러분은 반드시 현실적이어야 한다"고도 못박았다.

네 번째 조언은 "성공을 얻기 위해 관계를 맺을 필요는 없다(You don't need connections to achieve success)"이다.

항저우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나와 알리바바를 세워야 했던 그는 "우리는 부자 아빠나 영향력있는 삼촌을 갖고 있지 않다"며 "다만 우리가 갖고 있는 건 우리를 지지해주는 고객들"이라고 말했다. 주체적으로 돈을 벌고 성공을 성취하라는 말이다.

다섯 번째는 "세상을 바꾸려면 젊은이에게 투자하라(To change the world, invest in youth)"라는 조언이다.

그는 "젊은이들을 도와라. 이들은 클 수 있다. 젊은이들은 당신이 마음 속에 묻어두었던 씨앗을 갖고 있다.그것이 자라면 그들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도덕 교과서 속 말 같지만 희망을 일깨우고 자신의 책임감 또한 강조하고 있는 것들이다. 

자선에 대한 생각도 미묘하게 바뀌었다. 

그는 작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왜 내가 억만장자들처럼 자선과 기부를 약속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이런 발상은 빌 게이츠나 워렌 버핏에게서 나온 게 아니라 1950년대 공산당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주 CNBC와의 인터뷰에서는 "내 직업은 돈을 버는 것이며, 또한 사람들이 돈을 벌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면서 "난 다른 사람들이 더 많이 돈을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돈을 쓰고 있다. 그래서 내 직업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돈을 쓰는 것이기도 하다. 참 머리가 아프다"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