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양섭 기자] "줄기세포를 이용해서 환자들 열심히 치료하고 있는데, 갑자기 식약청(현 식약처)에서 의약품 허가를 받아야 되니 치료제를 쓰지 말라고 해서 홧김에 창업하게 됐다."
▲ 김현수 파미셀 대표 <사진=양아름 기자> |
당시 김 대표는 아주대학병원에서 주로 말기암 환자들을 치료하는 혈액종양 전문 내과의사였다.
그는 말기암 환자들을 위해 새로운 치료방법을 찾게 되면서 줄기세포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1997년부터 임상의사로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에 몰두했고, 2002년에는 그 결과를 질병의 치료에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
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줄기세포치료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조혈모세포이식술(골수이식)을 시행하며(약 300여명) 줄기세포의 치료적 가치를 직접 경험했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의사 신분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치료를 하고 있었는데, 식약청에서 약품으로 허가를 받은 뒤 사용해야 한다고 제동을 걸면서 창업하게 됐다는 게 파미셀의 '창업스토리'다.
김 대표는 "환자에게 잘 쓰던 치료제를 의약품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하니, 내가 제약사를 만들어어야 겠다. 이런 생각으로 창업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때 (식약청측의) 감시도 받고 그랬었다"면서 "국장 이상은 대부분 나를 알 것"이라고도 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2002년 5월 '파미셀' 이라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회사가 설립됐다.
창업하면서 주변에 손을 많이 벌리진 않았다. 김 대표는 "주변에 창업한다고 하니 전화 한 통에 3억5000만원정도가 모였고, 내가 은행에 빌린 돈 조금 해서 5억원의 자본금으로 순조롭게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그의 인생은 사실 '굴곡'이란 단어와는 거리가 멀 정도로 비교적 순탄했다. 유명한 산부인과 의사였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고, 연세대 의대(원주 의과대학)를 입학하면서 의사의 길을 걷게 됐다. "돌이켜보면 의과대학에서 공부할 때 가장 행복했던 것 같고, 일하는 데 있어서는 레지던트 시절, 그리고 젊은 교수 시절이 가장 즐거웠던 것 같다"고 김 대표는 회상했다.
그렇다고 창업에 대해 후회해본 적은 없다. 김 대표는 "고등학교때 의대 들어가기 위해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그 때 막연하게나마 '국가와 민족을 위해 한 번은 일해야 겠다' 이런 생각을 했다"면서, "세계 최초로 줄기세포 치료제 허가를 받는 등의 성과를 내면서 상당히 보람된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도 개인 생명을 다루는 고귀한 직업이지만 제약회사, 바이오는 그 파급력이 훨씬 더 크다고 생각한다"면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는 더 크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물론 창업 이후 순탄한 길만 걸어온 것은 아니다. 창업은 그가 온실 안에서 스스로 걸어나온 순간이었다. 김 대표는 "그 전까지 내가 만났던 사람들이 대부분 환자나 그 가족들이 대부분이니까 나한테 거짓말을 할 사람이 거의 없었는데, 사회에 나오면 그 반대 아니었겠느냐"면서, "그런데 파이낸스(재무) 이런 쪽을 사실 잘 모르니까 중간에 사기도 좀 당해보고 그랬다"고 회고했다. 그는 다만 "다행히 큰 사기는 아직 안 당해봤다"면서 웃음으로 자세한 얘기를 대신했다.
3년여의 연구를 거쳐 2005년 국내최초로 식약청에서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업화 임상 3상 임상시험을 승인받아 업계와 언론의 관심을 받게 됐고, 2006년 심근경색증치료제, 2007년 만성척수손상 치료제에 대한 임상 2상 및 3상 허가를 받아 세계에서 유일하게 3개 질환에 대해 최종단계의 상업화 임상 3상을 진행했다.
시련도 있었다. 사업 시작 이후 가장 어려웠던 시기를 꼽아달라고 하자 그는 '황우석 사태' 얘기를 꺼냈다.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이 터졌던 2006년을 말한다. "그 때 분위기가 그래서.. 임상을 받던 환자들이 갑자기 그만둔다고 해서 좀 힘들었다""고 회고했다.
이런저런 시련을 거쳐 2011년에는 심근경색증치료제에 대해 식약청의 시판허가 승인을 획득하면서 파미셀은 세계 최초의 줄기세포치료제 개발회사라는 '타이틀'을 갖게됐다. '세계 최초로 시판된 줄기세포 치료제’란 타이틀을 지닌 파미셀의 심근경색 치료제 ‘셀그램-AMI’는 개발부터 시판 허가까지 9년이 걸렸다.
김 대표는 최근 바이오산업 분위기에 대해선 상당히 긍정적으로 봤다. 그는 "그 때(황우석 박사 논문조작 사건 발생 시점)가 바이오산업측면으로 보면 바닥이었던 것 같다"면서 "사회적 인식이나 정부 지원 등의 인프라는 계속 좋아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가진 업계 간담회 분위기를 묻자 김 대표는 "정부가 업계 의견 수렴을 많이 하고 스터디도 많이 한 것 같다"면서 상당히 만족스럽다는 의견을 보였다. 최 장관은 지난 17일 파미셀을 방문해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정부의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전략 내용을 소개했다.
평소 스트레스 해소법을 묻자 그는 '자전거' 얘기를 꺼냈다. 김 대표의 가장 큰 취미활동이다. 서울에서 울산까지 3박4일 일정으로 자전거를 탄 적도 있다. 그는 "골프보다는 자전거 타기를 주로 한다"고 했다. 주량을 묻자 김 대표는 웃으면서 '소주 한 병'이라고 말했지만, 옆에 있던 측근은 "밤 새도록 마신다"고 귀띔했다.
경영 철학을 묻는 질문에 김 대표는 두 단어를 언급했다. '전문성'과 '대화' 다. "전문성을 갖추고, 대화를 통해 그 전문지식을 잘 공유해한다는 게 굳이 꼽자면 경영철학"이라고 그는 답했다.
[뉴스핌 Newspim] 김양섭 기자 (ssup8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