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소와 보조금 확대로 중국 시장 공략 '집중'
[뉴스핌=배효진 기자] # "4월에 주문했는데 9월에서야 자동차를 수령했어요. A/S(애프터서비스)도 엉망이고 전기를 충전할 마땅한 장소도 없어서 운전하기가 두려워요. 다시 똑같은 일을 해야 한다면 절대 테슬라를 구매하진 않을 거에요."
상하이에 거주하는 써니 장씨에게 전기자동차 테슬라는 다시는 떠올리고 싶지 않은 제품이다.
![]() |
테슬라 모델 S <출처=테슬라 홈페이지> |
이 때문에 주요 시장으로 중국에 집중했던 테슬라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철저히 외면당했다. 지난해 중국 내 테슬라 판매량은 2499대로 목표 판매량인 1만대에 한참 못 미쳤다.
이후 중국 직원 30%를 감원하는 구조조정으로 체질 개선에 집중해온 테슬라가 이번엔 한층 강도 높은 개선안을 꺼내들었다.
전기자동차를 제외하고 자동차 수령과 서비스부터 전기충전 인프라와 보조금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뜯어 고치기로 한 것이다.
테슬라는 앞으로 전기차를 구매하는 중국 고객들에게 집에서 무료로 충전이 가능한 가정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충전기를 설치하는 비용도 테슬라가 직접 부담한다.
또 소비자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충전 커넥터도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중국 테슬라 단 슈 딜러는 "충전 시간이 느리긴 하지만 필요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전기 충전이 가능하다"며 "충전소 인프라 부족에 대한 고객들의 불안을 줄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는 이 외에도 전기차 구입시 중국 정부가 지급하는 보조금도 대폭 늘린다는 구상이다.
그 동안 중국 당국은 테슬라를 전기차 구입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해왔다. 이에 테슬라는 소비자 유치를 위해 당국과 지방정부에 보조금 지급을 위한 로비를 벌여왔다.
그 결과 현재 상하이와 항저우, 광저우, 선전 등 4개 주요 도시에서 테슬라 제품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앤드류 펑 CLSA 애널리스트는 "테슬라가 정확한 전략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