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 구조조정 마치고 정상기업 재탄생 의미
[뉴스핌=이영기 기자] 유난히 구조조정이 강조되는 새해의 첫 회사채 발행 테이프를 쌍용양회공업(이하 쌍용양회)이 끊었다. 쌍용양회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시작해 2002년에 워크아웃에 들어가 이제 막 채권단들이 보유 지분을 매각하는 단계에 있는 회사다. 이에 이번 회사채 발행은 구조조정의 대장정을 마치고 정상기업으로 재탄생하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 |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쌍용양회는 오는 6일 2년만기 회사채 250억원 어치를 발행한다. 서울보증보험이 보증하는 이번 회사채는 새해 비금융 제조업체로는 첫 발행이다.
쌍용양회는 이번 발행자금과 자체자금으로 같은날 만기도래하는 350억원 회사채를 상환할 예정이다.
투자은행(IB)업계는 쌍용양회의 이번 회사채 발행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채권단 은행들이 워크아웃을 통해 채권 대신 받은 지분(주식)을 이번에 처분키로 하고 그 마무리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쌍용그룹은 모체인 1997년 외환위기 때 쌍용양회만 남기고 건설-정유(현 S-Oil), 중공업 등을 그룹에서 분리했다. 사실상 그룹 해체의 시작이었고 쌍용양회는 외자유치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2002년에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그 결과 산업은행, 신한은행, 서울보증보험 등 채권단이 36.8%, 일본 태평양시멘트 등이 32.36%의 지분을 갖는 구조가 됐다. 지난해 말 공개매각과정을 거쳐 사모펀드 한앤컴파니가 채권단 은행들 지분을 포함한 46.13%를 인수하게됐다. 10여년의 구조조정의 결과로 정상기업이 됐고 이제는 채권단이 구조조정과정에서 취득하게된 지분을 매각하는 셈이다.
IB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상장된 정상회사이지만 이번 M&A딜을 통해 채권은행들이 지분을 털어내게(Exit)되어 구조조정의 마무리 단계라고 할 수도 있다"면서 "구조조정의 해로 예상되는 올해 첫 회사채 발행을 쌍용양회가 맡아 그 의미가 돋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그간의 구조조정 결과 쌍용양회는 채권단의 보유지분을 매각하는 것뿐 아니라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도 크게 개선됐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2000년대 중후반의 0또는 마이너스(-)에서 최근 4.8배까지 상승했다.
쌍용양회 관계자는 "이자보상배율은 지난 2011년 0.65배로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했지만 시멘트 단가인상으로 수익성이 개선돼 2012년 1.45배로 오른 후 2013년 1.71배, 2014년 2.69배, 지난해 3분기는 영업이익 증가와 이자비용 감소로 4.80배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