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 서비스에서는 LGU+ 가 선방…KT, 부진한 실적 보여
[뉴스핌=심지혜 기자] 지난해 이통3사의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매출은 이통3사 모두 감소했으나 유일하게 SK텔레콤만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줄었다.
수 억원에 달하는 마케팅 비용 감소와 낮은 해지율,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줄어드는 실적에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일 SK텔레콤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조7080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반면 KT는 1조2929억원으로 3년만에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했으며 LG유플러스는 6323억원으로 전년 대비 9.7%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이러한 영업이익 하락이 특별퇴직 시행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반영과 자회사 사업활동에 따른 제반 비용이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자료=뉴스핌> |
지난해 매출은 이통3사 모두 뒷걸음질 쳤다. SK텔레콤이 17조1367억원, KT가 22조2812억원, LG플러스가 10조7952억원을 기록했으며 각각 0.2%, 0.1%, 1.9%씩 하락했다.
이는 정부의 요금인하 요구에 따른 가입비 폐지와 지원금에 상응하는 20%요금할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가입자당매출(ARPU) 에서는 SK텔레콤이 3만6582원으로 가장 높은 실적을 보였다. 다음으로 LG유플러스가 3만6333원, KT가 3만6049원으로 뒤를 이었다.
주요 매출원 중 하나인 LTE 가입자 수는 SK텔레콤이 2062만명으로 가장 많고 KT가 1283만명, LG유플러스가 988만명을 가장 적다. 전체 가입자 수는 SK텔레콤 2862만명, KT 1804만명, LG유플러스 1195만명 순이다.
서비스 해지율은 SK텔레콤이 1.5%,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1.8% 씩이다.
아울러 이통3사는 단통법 시행 후 첫 회계연도인 지난해 총 9600억원에 가까운 마케팅 비용을 절감했다.
2014년 SK텔레콤은 마케팅 비용으로 3조730억원을 지출했으나 지난해 14.5% 축소하면서 3조550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KT는 3조1528억원에서 2조8132억원으로 10.8% 감소했으며, LG유플러스는 2조962억원에서 1조9987억원으로 4.7% 줄었다.
이는 단통법이 시행됨에 따라 이통사들이 단말기 지원금을 통한 과열 경쟁을 자제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업계는 그만큼 20%요금할인 가입자가 증가해 매출에 영향을 입힌 만큼 실적 향상에 큰 도움을 준 것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한편, 유선시장에서는 KT와 LG유플러스의 희비가 엇갈렸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유선 매출 비중은 13%에 불과하지만 이번 실적 상승에 주된 역할을 했다. 인터넷전화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특히 IPTV가 약진하면서 지난해 유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1조443억원을 기록했다.
IPTV는 전년 대비 29.2% 성장한 매출 4968억원을 기록했으며 초고속인터넷도 같은 기간 1.2% 증가, 6825억원의 매출을 보였다.
반면 KT의 유선서비스 매출은 5조1587 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하락했다. 이 가운데 유선전화가 2조3137억원으로 같은 기간 11.2% 감소했으며 초고속 인터넷의 경우 가입자가 순증하고 기가인터넷에서 100만 가입자까지 달성했음에도 1.7% 하락한 1조7330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에서 유선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선 수익 다음으로 높은 23%에 달하지만, 지난해 실적 하락의 원인이 된 셈이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