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달러표시 회사채 발행 '중단'.. 높아지는 금리 부담
[뉴스핌=이고은 기자]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1만9000선을 넘어섰다.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자 제조업과 은행주가 랠리를 펼치며 꾸준히 지수를 끌어올렸고, 결국 뉴욕 증시의 이정표를 새로 썼다.
활짝 웃는 다우지수와는 반대로 아시아 신흥시장에서는 "트럼프 효과"가 자금 유출 및 회사채 시장 경색으로 나타나면서 글로벌 디커플링 우려도 고개를 든다.
◆ 사상 최고 돌파, 다우지수가 S&P500 리드한 뉴욕 증시… 배경은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0.35% 상승한 1만9023.87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0.22% 오른 2202.94에 마감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한달 추이 <자료=블룸버그> |
연말 다우지수의 급격한 랠리는 연초의 암울했던 분위기와도 대조된다. 다우지수는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인해 2016년의 첫 일주일을 사상 최악의 퍼포먼스를 보이며 시작했다.
이후 미국의 경제 데이터가 개선되면서 투자자들이 다시 증시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은 제조업 부문에서 기업 주식에 대한 수요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은행주 역시 트럼프의 금리 인상 및 규제 완화 정책 기대에 투자자들의 러브콜을 받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시장조사팀에 따르면 KBW 나스닥 은행 인덱스에 상장된 24개 은행 중 2개를 제외한 모두가 지난 대선 이후로 1년 최고치를 찍었다.
다우지수가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보다 연간 기준으로 더 나은 퍼포먼스를 보였다는 점도 이례적인 지점이다. 다우지수는 올해 9.2% 올랐고, S&P500지수는 7.8% 올랐다. 다우지수가 S&P500 지수의 상승 속도를 넘어선 것은 2011년 이후 처음이다.
◆ 랠리 지속?...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 채권 매도세 · 달러 강세 '우려'
최근 미 증시 랠리에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트럼프의 정책이 아직 불명확한 상태인데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의견과 함께, 널뛰는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강세 등도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록펠러사의 지미 창 투자전략가는 "사람들은 '유리잔 물이 반이나 찼네'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기대하는 효과가 실제로 발생되기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너무 빨리 결론으로 뛰어넘는 것은 언제나 위험하다"고 말했다.
<사진=AP> |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외에도 주식시장을 흔들 위험이 있는 다른 요인도 있다. 최근 채권 매도 가속화에 대한 우려다. 트럼프 정권 하에서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오를 것이란 기대가 채권 자산에 대한 매력도를 떨어뜨리면서 투자자들이 장기 국채를 내다팔고 있다.
다만 이날 채권 매도세는 소폭 둔화되면서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 2.335%에서 2.319%로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선 당일 국채 금리였던 1.867%에 비해 여전히 크게 뛰어있는 상태다.
달러화 강세와 보호무역주의 역시 우려사항이다. 트럼프 정책 결과로 예상되는 달러화 강세는 기업의 수익을 저해할 수 있고, 보호무역 정책 역시 다국적기업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
◆ 글로벌 디커플링 우려... 신흥시장에서 돈 빼 미국으로 가나
트럼프 당선으로 다우지수가 승승장구하는데 비해 신흥시장은 웃지 못하고 있다. 신흥시장, 특히 아시아 신흥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 이후 자금 유출이 일어나며 몸살을 앓고 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글로벌 펀드들은 트럼프 당선 이후 110억달러 규모의 아시아 신흥시장 주식과 채권을 처분했다. 당선 이후부터 지난 18일까지 가장 큰 자금 유출을 겪은 국가는 인도이며, 그 다음은 태국이 차지했다.
한국 증시에서도 자금 유출이 일어났다. 블룸버그는 미 대선 윤곽이 나온 지난 9일부터 17일까지 글로벌펀드가 한국 주식 9억4910만달러(1조1163억원)를 처분했다고 집계했다.
미즈호 은행의 마사카츠 후카야 신흥시장 트레이더는 "신흥시장에서의 자금 유출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면서 "트럼프 정책의 상당수가 달러 강세로 이어지며, 이는 신흥시장에게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당선 이후 아시아 신흥시장 자금유출 <자료=블룸버그> |
◆ 문제는 아시아 신용시장 경색... 달러 표시 회사채 발행 '일시정지'
당장의 자금유출보다 심각한 문제는 아시아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비싸진다는 점이다.
같은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시아 기업들이 "트럼프 효과"를 느끼기 시작했다면서, 글로벌 금리가 높아지면서 회사채 발행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갑작스런 신용시장의 경색은 최근 아시아에서 뿌리내린 성장 모델을 위협하고 있다. 아시아 기업들은 글로벌 저금리를 이용해 달러화 표시 회사채를 수억달러어치 발행해 기업 확장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시장조사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아시아 기업들은 올해 회사채 발행을 통해 1조1000억달러를 조달했다. 지난 2008년 2608억달러에 비해 크게 뛴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으로 내달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이 거의 확실시 되는 분위기 속에서 채권 수익률이 전세계적으로 상승했다. 더불어 미국 달러 강세는 기업들이 현지 통화로 달러 부채를 갚는 것이 비싸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지난 8일 트럼프 당선 이후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에서 회사채 발행이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 중국 부동산 개발회사 컨트리가든 홀딩스와 인도 국영은행 카나라 은행은 달러 표시 채권 발행을 포기하거나 유보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아시아 신용 시장의 둔화가 트럼프 충격이 소화되고 나면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도, 현상이 지속된다면 전반적인 성장을 저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이고은 기자 (go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