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 도시철도 가운데 서울 도시철도가 가장 안전투자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저조한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과 부산교통공사 등이다.
국토교통부는 주요 도시철도운영자 및 시설관리자의 최근 3년간 안전투자비율(안전투자 소요 대비 실적)을 담은 '철도안전투자 공시 시범사업 결과'를 철도안전정보 종합관리시스템에 1일 공시했다.
최근 3년간 안전투자소요 대비 실적이 가장 우수한 기관은 서울도시철도였다. 저조한 기관은 한국철도시설공단과 부산교통공사였다.
서울도시철도의 안전투자 소요 대비 투자 실적은 연도별로 △2013년 123% △2014년 122% △2015년 49.7%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경우 △2013년 3.88% △2014년 3.79% △2015년 6.06% 등이며 부산교통공사의 경우 △2013년 6.57% △2014년 11.7% △2015년 23.4% 등이다.
이번 공시 시범사업 대상자는 연간 여객 수송인원이 1억명을 넘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 △부산교통공사 △대구도시철도 △인천교통공사 등 6개 주요 철도운영자 및 시설관리자다. 철도파업에 따라 장기간 비정상 상황이 지속됐던 한국철도공사는 제외했다.
공시항목은 △안전조직·인력 현황 △시설 및 차량 등 보유현황 △주요 안전설비 구축현황 △철도사고·장애 발생현황 △안전투자 소요 △계획 및 실적 등 총 23개 항목이다.
공시 내용을 살펴보면 최근 3년 동안(2013~2015년) 6개 기관의 안전투자 소요 대비 실적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 안전투자비율은 연도별로 △2013년 5.31% △2014년 5.39% △2015년 8.86% 등이다.
하지만 절대적인 투자 규모는 부족했다. 개통한지 20년이 안돼 노후 철도시설·차량에 대한 투자소요가 없는 대구도시철도와 인천교통공사를 제외한 4곳의 2015년 안전투자 소요는 8조3124억6700만원이었지만 실적은 7363억1600만원에 그쳤다. 7조5000억원 이상의 투자가 부족한 셈.
6개 기관은 향후 3년간(2016~2018) 소요 대비 안전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향후 5년 이내 개통된 지 20년이 넘는 노선이 다수 발생해 신호·전기·통신설비의 내구연한(20년)이 경과, 설비에 따른 투자의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른 체계적인 재원 투자계획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공시 시범사업으로 도출한 정보를 철도안전정책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시범사업 결과 분석 등을 토대로 내년에는 사업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