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효과에 돈 안 들이는 마케팅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이번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동에 세간의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양국 정상이 만나는 플로리다의 마라라고(Mar-a-Lago) 리조트가 새삼 화제다.
트럼프 대통령이 ‘겨울 백악관’이라고 지칭할 정도로 미국 정치권의 주요 캠프로 자리잡은 마라라고는 지난 2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이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맞이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 |
플로리다의 마라라고 리조트 <출처=블룸버그> |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럭셔리 골프 클럽 중 하나인 마라라고는 정치권으로부터 쏠쏠한 반사이익을 챙기고 있다.
현직 미국 대통령의 후광을 업고 돈 안 들이는 마케팅 효과를 얻은 마라라고는 지난해 11월 대통령 선거 이후 회원권 가격을 두 배 인상했다.
주요국 거장들이 거쳐간 ‘겨울 백악관’의 회원으로 등록하기 위한 비용은 20만달러에 이른다. 당초 고가 리조트로 부유층 자산가들에게만 문이 열렸던 마라라고의 문턱이 한층 더 높아진 셈이다.
미국 역대 대통령들이 VIP들을 백악관이 아닌 개인적으로 소유한 장소에서 초대한 것은 전통적인 관례에 해당한다.
문제는 마라라고가 단순히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용 별장이 아니라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한 상업 시설이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마라라고의 ‘몸값’ 상승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워싱턴 대학의 케서린 클락 법학 교수는 5일(현지시각) CNBC 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인 영향력을 이용해 사실상 마라라고와 그 밖에 개인적으로 소유한 골프 클럽을 마케팅하고 있다”며 “이 같은 행위가 불법이라고 규정할 수 없다 하더라도 윤리적인 측면에서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 밖에 골프 클럽도 마찬가지다.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이후 골프 산업이 장기 불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소유한 미국의 10개 과세 대상 골프 클럽의 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그가 소유한 10개 골프 클럽의 가치는 2016년 말 현재 2억6600만달러로, 2012년 이후 10% 가량 뛰었다.
이는 미국의 골프 회원권 보유자가 2005년 3000만명에서 2015년 2410만명으로 급감한 것과 대조를 이루는 결과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