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이어 우리은행도 이익배분제 도입 검토
[뉴스핌=강필성 기자] 은행권에서 이익배분제(PS·Profit Sharing)가 화두로 떠올랐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이 이익배분제를 재정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 계기다.
이익배분제는 기업이 일정기간 목표한 이익을 달성하면 이익 중 일정 비율을 종업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이다. 매번 노사가 협의해서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과는 달리 사전에 정해진 비율대로 지급한다. 이에 노사 갈등의 여지도 적고 조직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꼽힌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현재 4대 시중은행 중 신한은행, KEB하나은행은 이익배분제를 도입했으나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도입하지 않았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 민영화되기 전까지 정부 소유였던 만큼 논의 자체가 이뤄지기 힘들었다. KB국민은행은 이익배분제에 대한 규정이 있지만 거의 사문화된 상태였다.
<사진=셔터스톡> |
윤종규 회장은 지난 3일 정기조회에서 이익배분제를 합리적으로 재정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KB가족여러분이 흘린 땀의 결실인 초과이익에 대해서는 당당히 공유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보상에 대한 이슈를 놓고 과거처럼 노사가 줄다리기 하는 일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현재 KB금융지주는 초과 수익을 달성할 경우 일정 부분을 회사의 주식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도 인사체계 개편 과정에 이익배분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은 올 초부터 내부 직원과 외부컨설팅사의 TF를 구성해 인사제도, 승진 기준 등 종합적인 인사체계를 새롭게 마련하고 있다. 이 TF는 이달 중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지난 1월 취임 직후 “노사가 매번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적인 성과보상 체계를 만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외에 KEB하나은행은 지난 4월 전 임직원에게 이익배분제를 도입했다. KEB하나은행의 이익배분제는 옛 하나은행에만 존재하고 옛 외환은행에는 없었기 때문에 각자 달리 적용이 됐다. 하지만 올해는 처음으로 전직원을 대상으로 적용한다.
시중은행이 이처럼 이익배분제를 꺼내드는 이유는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앞다퉈 도입했던 성과연봉제가 사실상 고사될 처지기 때문이다. 이를 대체할 성과주의 문화가 필요한 것.
아울러 사기진작에 대한 내부의 요구도 커졌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말 대규모 희망퇴직으로 인해 성과급이 지급되지 않았고, 우리은행은 민영화 이후 그동안 경쟁사 대비 낮았던 성과급에 대한 요구가 본격화됐다. KEB하나은행 역시 올 하반기 중에 옛 하나은행과 옛 외환은행의 인사체제 통합을 앞두고 있어 이익배분제의 차등 적용이 힘들었다는 평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익배분제는 목표 이익을 달성한 상황에서 일정 비율을 정해 지급하는 형태라서 실적에 대한 조직원의 의욕을 높일 수 있다”며 “잇따른 점포 감축, 희망퇴직이 진행된 상황에서 사기를 높일 필요도 있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뉴스핌 Newspim] 강필성 기자 (fee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