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가 사라진 자리, '따이공(代工)' 의존도 ↑
송객수수료+페이백 이중고로 수익성 악화
[서울=뉴스핌] 박준호 기자 = 국내 면세업계가 사상 최대 매출 경신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매출 성장 자체가 전적으로 중국 보따리상인 ‘따이공(代工)’에 기인한 탓에 기형적 수익구조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유커의 빈자리를 따이공이 메우면서 매출 감소 위험에서 벗어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할인 경쟁이 심화되면서 되려 수익성은 악화된 상태다.
25일 관세청 따르면 지난해 국내 48개 면세점 총 매출액은 전년대비 17.9% 늘어난 14조468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국내 중국인 입국자는 2016년 807만명에서 지난해 417만명으로 반토막 났다.
◆ 따이공 의존도 증가, 면세업계 '독(毒)'됐다
면세점 ‘큰 손’으로 불리던 중국인 관광객이 줄었는데도 매출이 늘어난 역설적 상황이 벌어진 것은 따이공으로 불리는 중국 보따리상이 면세점 싹쓸이 쇼핑에 나선 덕분이다.
실제로 따이공이 주로 활동하는 시내면세점의 지난해 외국인 고객 수는 전년대비 37% 감소했지만, 오히려 매출은 11조1168억원으로 24.8%나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면세점협회가 발표한 지난달 국내 면세점 매출은 15억6009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7.4%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외국인 매출은 같은 기간 무려 90.2%나 늘어난 12억6466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매출의 81.0%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반면 이용객 숫자는 매출 상승세에 비하면 상당히 미비한 수준이다. 3월 외국인 이용객은 157만8462명으로 1년 전보다 27.9% 늘어나는데 그쳤다.
주목해야할 점은 외국인 이용객의 객단가다. 머릿수로는 전체에 38.6% 비중에 불과하지만,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이들의 1인당 구매액은 801달러에 달한다. 1년새 객단가가 무려 48.6%나 증가했다. 따이공이 견인한 매출 상승이라는 분석에 힘을 싣는 대목이다.
문제는 이들을 유치하기 위해 드는 비용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사드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국내 면세업계 입장에선 따이공이 부족한 매출을 채워주는 ‘필요악’인 탓에 거액의 송객수수료()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실제 관세청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2개 시내면세점 사업자가 지출한 송객수수료는 1조1481억원으로 전년대비 18.7% 증가했다. 송객수수료는 여행사가 데려온 단체관광객 매출의 일정부분을 지급하는 수수료인데, 최근에는 따이공 유치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이들을 연계해 준 여행사에 지급하는 송객수수료 부담도 커지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2013년 7.3%였던 시내면세점 사업자의 송객수수료 비율은 2016년에는 10.9%까지 확대됐다. 올해 들어서는 20%대까지 치솟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상품 구매액의 일부분을 현금·상품권으로 돌려주는 페이백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롯데와 신라 등 시내 대형면세점들은 판매금액의 15~20% 가량을 환급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면세점의 경우 환급률이 30%에 육박한다는 전언이다.
◆ 차등 수수료율, 송객 수수료 조정 등 대책 시급
면세업계 한 관계자는 “따이공의 활동을 전면 금지하면 국내 면세업계는 고사할 것”이라며 “유커의 매출 공백을 따이공 영업으로 메울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다만 송객수수료에 페이백까지 더해져 수익성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롯데면세점 매출은 5조4539억원으로 전년대비 0.02% 줄었지만 영업이익(25억원)은 무려 99.25%나 감소했다. 신라면세점 역시 지난해 매출은 3조5719억원으로 전년보다 7.1% 늘었지만, 영업이익(585억원)은 25.8% 줄었다.
이에 국내 면세점들은 따이공이 구매하는 제품별로 수수료율을 차등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영업이익률 개선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따이공 구매가 집중되는 품목에 대해선 송객수수료율을 낮춰 수익성을 제고하고, 구매가 약한 품목에 대해선 수수료율을 올려 제품판매 유도 및 적정 재고를 유지하겠다는 복안이다.
박성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한국 면세점 시장은 따이공을 통해 중국 내수시장의 소비채널 가운데 하나로 기능하고 있다”며 “중국 웨이상 시장(위쳇, 웨이보 등 SNS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폭발적인 성장과 위안화 강세현상을 감안하면, 한국 면세점 시장 성장의 중심축은 따이공인 셈”이라고 말했다.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면세점 본점에 줄을 선 관광객들 <사진=뉴스핌> |
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