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SNS, 문자 등은 이제 일상의 일부가 아니라 전부"
[서울=뉴스핌] 장주연 기자 =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세계가 스크린과 도서 안으로 들어왔다. 눈뜰 때부터 잠들 때까지 스마트폰, PC와 함께하는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접목, 새로운 문법으로 이야기를 전개한 작품들이 수용자들을 만나고 있다.
영화 '서치' 스틸 [사진=소니픽처스] |
29일 개봉한 영화 ‘서치’는 행방불명된 딸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한 아버지의 이야기다. 단순하고 익숙한 내러티브지만 형식만큼은 특별하다. ‘서치’는 현 세대가 사용하는 뉴미디어를 보여주며 온라인이 지배하는 21세기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러닝타임(101분) 내내 기존 영화 속 화면은 볼 수 없다. 대신 SNS와 뉴미디어가 다양한 형태로 그 자리를 채운다. 스마트폰, PC, CCTV 등을 프레임 삼아 구글, 페이스북, 스카이프, 텀블러, 유튜브, 문자 메시지 창이 쉴 새 없이 열리고 닫힌다.
‘소셜 네트워크’(2010), ‘소셜포비아’(2014), ‘더 서클’(2017) 등 그간 SNS를 소재로 한 영화들은 많았지만, 영화 전체를 지배한 건 이례적이다. 관객은 오로지 모니터 화면에 펼쳐지는 사진, 동영상, 텍스트로 사건을 추리하고 범인을 찾아간다.
메가폰을 잡은 아니쉬 차간티 감독은 “우리가 매일 소통하는 기기를 활용해서 스토리텔링을 하고 싶었다. 관객에게도 친숙할 거다. 구글에서 근무할 때 얼굴이 안나와도 클릭, 윈도우 창으로 감정이 나올 수 있다는 걸 알았고 장편 영화로 표현하면 더 가능성이 있을 거라 생각했다”고 말했다.
공지영 신작 소설 '해리' [사진=해냄출판사] |
이런 흐름은 도서에서도 엿볼 수 있다. 최근 발매된 공지영 작가의 장편소설 ‘해리’다. ‘해리’는 올해 등단 30주년을 맞은 공지영 작가가 5년 만에 내놓은 장편소설로 ‘도가니’(2009)처럼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소설은 인터넷 언론사 기자인 한이나가 암에 걸린 어머니를 보살피기 위해 고향에 내려왔다가 백진우, 이해리가 얽힌 사건을 마주하고 그 배후를 캐는 과정을 담았다. ‘도가니’에 등장했던 인권운동가 서유진이 등장하며 배경 역시 다시 무진이다.
그러나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구성이다. 소설 곳곳 백진우와 이해리의 페이스북이 등장하고 한이나와 서유진의 대화가 SNS 대화방 형식으로 그려진다. ‘서치’의 관객이 그러했듯 독자들은 책 속 창들을 통해 추가 정보를 습득하고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예측한다.
공 작가는 앞서 진행된 ‘해리’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21세기 들어서 위선, 사기의 중요한 도구로 SNS가 쓰인다고 설정하고 페이스북을 선택했다. 페이스북으로 악들이 이미지를 세탁하고 거짓말하면 무고한 선의를 가진 사람들이 그것에 속아 넘어가는 행태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문화계 관계자는 “노트북과 휴대폰, 이를 이용한 유튜브, SNS, 문자 등은 이제 일상의 일부가 아니라 전부가 됐다. 때로는 의사 표현 도구이자 소통 창구이며 때로는 하루를 기록하는 일기장이다. 그러니 대중도 이를 활용한 작품들에 부대낌이 없고 오히려 더 몰입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