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재단 노벨과학상 분석..“한국, 중심부와 떨어진 주변부”
선구적 논문 참여비율 극도로 미미..물리학 5.3%, 화학상 1.2%
80% 수상사례서 수상자간 직·간접적 상호협력
미국·일본·독일·영국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축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최근 노벨과학상 수상의 90% 이상이 공동수상이고 3인의 공동수상이 일반적 트렌드다. 수상자 연구패턴 분석결과도 80%의 수상사례에서 수상자 간에 직·간접적 상호 협력관계에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요국 석학과의 공동연구 협력 등 이른바 ‘노벨상 외교전략’이 중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기관인 한국연구재단(NRF)은 ‘최근 10년간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생애 연구업적 분석에 관한 연구’란 제목의 정책보고서에서 이런 내용의 연구결과를 내놨다.
보고서는 한국의 노벨상 수상을 위해 어떤 전략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지 진단했다.
2018.09.17. [자료=한국연구재단] |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17년 노벨과학상 수상 전체 30회 가운데 27회가 2인 이상 공동수상이다. 3인 이상 공동수상도 21회로 70%에 달했다.
이런 결과와 함께 수상자 간 협력 유형도 ‘공동연구’(29%)와 ‘연관적 기여’(29%)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등의 수상 배출 국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협력의 중심부와 거리가 있으며, 주로 미국과의 협력에 집중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노벨상 수상에 기여한 논문의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분석하면 물리학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이탈리아, 러시아 등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협력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협력의 중심부와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한국 연구자들의 경우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선구적(unique) 논문 5095편 중 271편(5.3%)에 공동저자로 참여하고 있다. 연구협력은 서울대(224편)가 가장 활발했다. 이어 부산대(96편), 한양대(96편), 전남대(80편), 성균관대(64편) 순이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 미국에 위치한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라이고·LIGO) 프로젝트, 일본 슈퍼 가미오칸데(Super-Kamiokande)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는 정도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노벨 화학상, 생리의학상 분야에서도 한국 연구자는 노벨상 수상자 급의 연구자와 공동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됐다.
화학상의 경우 수상자 국가인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네덜란드 등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협력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연구자들의 경우 화학상 수상자의 선구적 논문 9259편중 공동으로 참여한 논문이 108편(1.2%)에 불과했다.
생리의학상 경우에도 미국, 프랑스, 일본 등의 수상자를 중심으로 연구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노벨상 수상자들과의 협력이 많지 않고 네트워크 중심부와는 거리가 있는, 이른바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실제로 한국 연구자들의 경우 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선구적 논문 7001편 중 36편(0.5%)에만 공동저자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해외 유수의 연구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연구협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세계를 이끌고 있는 주요 연구에서 고립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전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계 석학들과의 연구협력을 촉진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