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운전사' 집필한 엄유나 감독 첫 연출작…1월9일 개봉
[서울=뉴스핌] 장주연 기자 = 1940년대 경성, 극장에서 잘린 판수(유해진)는 정환(윤계상)의 가방을 훔치려다 실패한다. 이후 두 사람이 재회한 곳은 조선어학회. 판수는 면접을 위해 학회를 찾고 그곳 대표인 정환과 만난다. 정환은 전과자에 까막눈인 판수가 못마땅하지만, 회원들의 의견에 따라 그를 받아들이기로 한다. 판수는 일하는 틈틈이 한글을 배우며 우리말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고 정환은 판수를 통해 ‘우리’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
말모이는 한일합병 초기인 1911년 주시경 등 조선광문회 언어학자들이 주도한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를 일컫는 말이다. 주시경의 죽음 이후 미완성으로 남은 사전 편찬 작업은 이후 조선어학회가 이어간다. 이들은 1940년대 일제 감시를 피해 전국의 우리말을 모아 사전을 만드는데 이 비밀 작전 또한 말모이라 불린다. 영화 ‘말모이’는 후자인 말모이 작전을 바탕으로 만든 작품이다. 메가폰을 잡은 엄유나 감독은 역사에 기록돼 있으나 잘 알려지지 않은 그때의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스크린으로 불러들였다.
역사를 대하는 엄 감독의 시선은 ‘말모이’에 고스란히 묻어난다. 그는 조선어학회의 투쟁 과정을 꾸밈없이 천천히 그려내려 간다. 극적인 장면 연출을 위해 역사를 미화하거나 독립운동가들의 일대기를 거창하게 포장하지 않는다. 담백하고 담담한 연출은 ‘말모이’의 큰 미덕이다.
메시지는 명확하다. 영화는 여러 차례 배우의 입을 빌려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이 더 큰 걸음”이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역사를, 미래의 우리를 바꾸는 건 뛰어난 한 명의 열 걸음이 아닌 평범한 우리의 한 걸음이 모여 나온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이는 과거를 넘어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왜, 무엇을 위해 움직여야 하는지를 일깨워준다.
역사 기반 영화의 한계, 예컨대 단순하고 예측 가능한 서사로 인한 지루함은 뜻밖의 코미디로 살렸다. 135분에 달하는 긴 러닝타임이 무색할 만큼, 아픈 역사를 다뤘다고는 믿기 힘들 만큼 ‘말모이’는 시종일관 활력이 넘친다. 엄 감독은 진중하게 과거사를 풀어가면서도 주인공 판수를 통해 영화적 재미를 더했다. 그 웃음에는 부족함도 넘침도 없다.
단연 유해진의 공이 크다. 판수로 분한 유해진은 감칠맛 나는 연기로 영화의 쉼표를 만들어내며 극의 몰입도를 높인다. 물론 시대의, 소시민의 아픔을 그려내는 것 역시 놓치지 않는다. 함께 극을 이끄는 윤계상은 정환으로 이야기의 중심을 잡는다. 전작 ‘범죄도시’(2017) 속 모습은 지워버리고 진중한 얼굴과 태도로 말로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이들을 대변한다.
유해진과 윤계상 외에도 조선어학회의 어른 조갑윤 선생 역의 김홍파, 시인 임동익 역의 우현, 학회 기관지 기자 박훈 역의 김태훈, 책방 주인이자 강단 있는 회원 구자영 역의 김선영 등이 출연해 제 몫을 다한다. 오는 1월9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jjy333jjy@newspim.com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