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지난해 4분기 뉴욕증시가 급락한 사이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이 밀려들었던 단기물 채권에서 뭉칫돈이 빠져나가고 있다.
안전자산에 집중됐던 유동성이 장기물 채권과 주식시장으로 유턴한 셈. 아울러 지난해 역전 조짐을 보였던 일드커브의 상승 베팅이 후끈 달아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사진=블룸버그]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기조 변화가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6일(현지시각) 펀드 평가업체 모닝스타에 따르면 올들어 1~2월 사이 단기물 채권에 집중적으로 베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서 41억달러의 자금이 이탈했다.
지난해 11~12월 해당 상품은 이보다 네 배 웃도는 자금이 홍수를 이뤘으나 연초 이후 급반전을 이룬 셈이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통하는 단기물과 초단기물 채권에서 빠져 나온 자금은 장기 국채와 회사채, 이어 주식 관련 펀드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모닝스타의 진단이다.
연준 정책자들이 추가 금리인상에 인내심을 갖겠다는 의사를 거듭 확인한 데 따라 안전자산으로 잰걸음을 하던 투자자들이 방향을 틀었다는 것.
운용 자산 90억달러의 뉴욕 소재 리처드 번스타인 어드바이저스의 다니엘 스즈키 포트폴리오 전략가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지난해 주가를 압박했던 연준의 과격한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는 말끔하게 사라졌다”며 “올들어 투자 심리가 놀랄 정도로 급변했다”고 전했다.
연초 이후 이어진 주식시장의 강한 랠리와 변동성 하락이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 베팅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일드커브를 둘러싼 월가 트레이더의 베팅에도 연초 이후 변화가 두드러진다. 장단기 국채 수익률 스프레드를 반영하는 일드커브의 역전 가능성에 촉각을 세웠던 트레이더들이 올들어 상승 가능성에 적극 베팅하고 나선 것.
연말까지 정책금리가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중할 경우 단기물 국채 수익률의 상승 속도가 장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쳐지면서 스프레드가 벌어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실제로 5년물과 30년물 국채 수익률 스프레드는 최근 60bp(1bp=0.01%포인트)까지 상승하며 1년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해 7월 20bp 아래로 떨어지며 역전 조짐을 보였던 일드커브가 방향을 전환한 셈이다. 일드커브의 역전은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신호라는 점에서 연준의 긴축 브레이크 이후 상황이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뱅가드 그룹의 앤 마티어스 전략가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경제 지표가 호조를 보이더라도 투자자들의 금리인상 기대가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