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기업

속보

더보기

제2의 마윈 마화텅 레이쥔을 꿈꾼다, 중국 ‘창업스쿨’ 어떤 곳일까

기사입력 : 2019년04월05일 18:06

최종수정 : 2019년04월08일 07:02

학비 1억원, 입학조건 매출 51억원 이상 기업 경영 ‘문턱 높아’
지식탐구부터 사교모임까지, ‘차세대 경영인을 위한 양성소’

[서울=뉴스핌] 이미래 기자 =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와 같은 중국 간판 정보통신기술(IT) 기업들이 중국의 '신경제'를 이끌 혁신적인 창업가 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을 대표하는 IT 공룡 업체들이 앞으로 '제2의 마윈 마화텅 레이쥔'을 배출하게 될 '경영 스쿨'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중국은 지난 2014년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리커창(李克強) 총리가 처음 제시한 ‘모두가 창업하고 혁신하자(大衆創業, 萬衆創新)’ 표어에 따라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양적팽창’에서 ‘질적성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력 중 하나로 ‘혁신창업’을 내세운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대기업들도 창업 지원은 물론 직접 경영스쿨 설립에 참여했다. 지난 2015년 알리바바(阿裏巴巴)과 텐센트는 각각 후판대학(湖畔大學), 칭텅대학(青騰大學)을 설립했다. 이어 2016년에는 샤오미(小米)의 투자를 받은 가오산대학(高山大學, GASA)이 문을 열었다.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가장 먼저 경영 학교의 ‘교장’이 됐다. 항저우(杭州)의 한 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첫 직장생활을 시작한 그는 항상 “언젠가 교직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혀왔다. 그리고 지난해 9월 “1년 뒤 경영일선에서 물러나 중국 교육에 전념하겠다”며 은퇴계획을 알렸다.

후판대학은 마윈을 비롯해 9명의 기업가 및 학자가 공동 설립한 경영스쿨이다. 대학교 이름은 지난 1999년 마윈과 창립멤버 17인이 알리바바를 처음 창립한 허름한 아파트 ‘후판화위안(湖畔花園)’에서 따왔다.

마윈은 10년을 투자해 후판대학을 중국 차세대 경영인을 위한 ‘하버드대’ ‘예일대’로 만들겠다는 야심 찬 포부를 가지고 있다.

같은 해 텐센트는 중국 명문대 칭화대학(清華大學) 경제관리학과와 협력해 칭텅대학을 설립했다. 이곳은 인공지능(AI) 생명과학 신소재 가상현실(VR) 등 첨단과학기술을 주도하는 인재육성에 포커스를 맞췄다.

칭텅대학 입학 이후 경영하던 기업의 시가총액이 10배, 많게는 60배까지 성장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가오산대학은 샤오미와 장야친(张亚勤) 바이두(百度) 총재 등의 투자를 받아 설립됐다. 대학교 이름은 시경(诗经, 춘추시대 민요 중심 시집) 속 ‘높은 산은 사람이 우러러 보며, 큰 길은 사람이 따른다(高山仰止,景行行止)’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대학 창립자 원추(文廚)가 강조한 ‘과학의 부흥(New Scientific Renaissance)’ 표어를 따라, 각종 과학탐구 커리큘럼이 준비돼 있다.

IT 공룡 기업의 지원을 받은 경영학교들은 학비는 물론 입학 문턱도 높은편이다.

후판대학의 경우 3년 학비는 58만 위안(약 1억 원)이다. 베이징대 졸업생보다 더 취업이 잘되기로 유명한 샤오룽샤(小龍蝦, 민물붉은가재)전문대학의 학비(단기과정)가 1만3000위안(약 220만 원)인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준이다. 학비는 입학 전에 모두 납부해야 한다.

칭텅대학의 '상업학당' 학비는 50만 위안(약 8500만 원)으로 알려졌다. 입학조건도 까다롭다. 기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회사규모 매출 등이 조건에 부합해야 하는 건 물론 추천서도 필요하다.

후판대학은 창업 3년 이상, 연간 영업이익 3000만 위안(약 51억 원) 이상인 업체를 경영 중인 기업인을 대상으로 입학생을 모집한다. 총 3명의 추천서를 제출해야 하며, 그중 한 명 이상은 후판대학이 지정한 추천인이어야 한다.

칭텅대학에 입학하려면 ‘시리즈 A 펀딩을 받아 창업한' 기업인이 최소 한 명 이상 칭텅대학 학생에게 추천서를 받아야 한다.

반면 가오산대학은 지원자의 조건보다 첨단 기술에 관심이 있고 경영 기업의 발전 전망 등 ‘지원자의 열정’을 우선시 한다.

각 대학 경쟁력의 핵심인 커리큘럼은 비밀에 부쳐져 있어 자세히 알 순 없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가오산대학은 정보과학 생명과학 등 기술 관련 과정이 주를 이룬다.

반면 후판대학의 커리큘럼은 '지력 사고력 체력 과정'으로 나뉜다. 고난을 어떻게 이겨내야 하는지 연구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학습한다. 또 이 학교는 성공만큼 실패를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실패를 뛰어넘는 방법을 전수한다.

이들 경영 스쿨에 들어오는 학생의 종사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다.

2019년 3월 28일 기준 후판 칭텅 가오산대학에 재학 중인 563명의 기업인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10%는 문화엔터테인먼트 출신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투자기관 △의약 분야 경영인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립 초반에는 인터넷기업 출신의 신입생이 대부분이었으나, 지금은 교육 자동차 광고마케팅 미용 등 다양한 분야의 창업자들로 채워지고 있다.

이들이 경영스쿨의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다양하다. 지식을 탐구하고 경영 테크닉을 학습하는 건 물론 유명 기업인 동기들을 사귈 수 있는 것도 큰 매력으로 꼽힌다. 2012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철퇴를 맞이한 각종 고급 사교클럽의 자리를 이들 경영스쿨이 대체하고 있는 것.

후판대학과 칭텅대학을 모두 다니는 기업인도 나타나고 있다. 제멘에 따르면 △중국 최대 SNS 쇼핑몰 샤오훙슈(小紅書) 창립자 쥐팡(瞿芳)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서비스 메이르유셴(每日優鮮) 창립자 쉬정(徐正) △중국 최대 지식 커뮤니티 뤄지쓰웨이(羅輯思維) 창립자 뤄전위(羅振宇) 등이 후판대학과 칭텅대학을 모두 다니는 등 학구열을 뽐내고 있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