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라오쯔하오] 중국 4대 명주, 유망 A주 상장사 '노주노교'

기사입력 : 2019년05월02일 17:57

최종수정 : 2019년05월02일 17:58

명·청대부터 시작된 유서 깊은 농향형 백주
올 1분기 기준 노주노교 주가 상승폭 63.75%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4대 명주이자 '라오쯔하오'(老字號,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 브랜드)'인 루저우라오자요(瀘州老窖, 이하 노주노교)는 귀주모태(貴州茅台),우랑예(五糧液)와 더불어 중국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백주 브랜드로 통한다. 노주노교는 얼마 전 ‘명냥’(茗酿)이란 브랜드로 한국에도 본격 진출해 다시 한번 주목을 받고 있다.

'백주의 본산지' 쓰촨성 루저우(泸州)에서 탄생한 노주노교(泸州老窖)는 1573년부터 땅굴을 파 숙성을 시켜 깊은 풍미를 지닌 전통 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명·청대부터 시작해 446년 역사의 유서 깊은 노주노교는 은은한 향을 지닌 동시에 달콤하고 깔끔한 맛으로 백주 애주가들의 각광을 받아 왔다. 

노주노교 저장창고[사진=바이두]

◆유서 깊은 역사 지닌 백주 ‘노주노교’

노주노교의 대표 백주 제품인 ‘루저우라오자오터취’(瀘州老窖特曲, 노주노교특곡)는 오랫동안 항아리에 숙성시킨 ‘농(濃)향형’ 백주로 명성이 높다.

노주노교특곡은 전통적인 양조방법을 23대째 계승한 방식으로 제조되면서 백주 특유의 깊은 향과 맛을 낸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2006년 이 제품을 ‘중화 라오쯔하오(中華老字號)’로 지정했다.

농향형 백주는 깊고 풍부한 향이 특징이며 뒷맛이 오래 남는다. 쓰촨(四川)성과 장쑤(江蘇)성 일대 양조장에서 생산하는 백주(고량주) 대부분이 농향형에 속한다.

노주노교 백주의 농익은 향은 100년 역사를 지닌 1619개에 달하는 백주 저장창고(古窖池)에서 비롯된다. 이 창고들은 노주노교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입증하는 산물이기도 하다. 이 업체 명칭 중 ’노교’(老窖)도 '오래된 구덩이(저장고)'라는 뜻으로, 여기서 구덩이는 백주를 발효시키는 저장소를 가리킨다.

국교 1573[사진=바이두]

그 중 노주노교의 가장 오래된 창고는 1573년에 지어진 곳으로, 지난 1996년 국가중점문화재로 지정됐다. 노주노교의 프리미엄 제품인 ‘국교(國窖)1573’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백주로 전해진다.

1619개의 백주 저장창고와 16곳의 양조장 및 3곳의 천연 저장소도 잇달아 국가 문화재로 추가 지정됐다. 이로써 노주노교는 백주 업체중 가장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업체가 됐다.

그 밖에 원나라 시기부터 전승된 노주노교의 양조 비법도 2006년 5월 ‘국가비물질문화유산’(國家級非物質文化遺產)으로 선정됐다.

◆높은 실적 성장세로 자본시장에서도 각광

노주노교는 중국 백주 업계의 전반적인 성장세와 더불어 고속 성장을 실현하고 있다.

실제로 2018년 노주노교의 2018년 매출은 130억 560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동기대비 36% 늘어난 34억 8600만위안을 기록했다.

올 1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나타냈다. 노주노교의 1분기 매출은 전년비 37.15% 급증한 41억 6900만위안으로 집계됐다. 또 순이익도 43.08% 늘어난 15억 1500만에 달했다.

이 같은 폭발적인 성장세는 제품당 판매 가격이 800위안 이상의 국교(國窖)를 비롯한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바 크다. 지난 2018년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증가율은 37%에 달했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절반(49%) 가까이를 차지했다.

실적 호조에 노주노교(瀘州老窖,000568 SZ)의 주가도 우샹향 곡선을 그리면서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

지난 1분기 기준 노주노교의 수익률은 63.75%에 달하면서 눈부신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4월 30일 기준 노주노교의 주가는 77.88위안을 기록했고, 시총 규모는 1141억위안에 달했다.

기관들도 잇달아 펀드의 주요 포트폴리오로 편입시키는 동시에 ‘매수 의견’을 제시하면서 백주업계의 각광받는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노주노교는 총 79개 펀드에 편입됐다.

국신(國信)증권은 “고급 백주의 수요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며 노주노교의 목표주가를 81.6~87.9위안으로 제시했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