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경기도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4차 산업 핵심기술인 공공융합플랫폼을 활용해 인공지능 기반의 얼굴인식 기술과 건강상태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 등 최신 IT기술을 적용한 ‘영유아보육·안전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고인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부원장이 12일 오후 2시 경기도청에서 이같은 내용의 ‘IT활용 영유아 보육·안전 실증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 |
고인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부원장이 12일 오후 2시 경기도청에서 ‘IT활용 영유아 보육·안전 실증화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지은 기자] |
IT활용 영유아 보육·안전 실증화사업은 크게 △안전한 등·하원 출석체크 시스템 개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보육시설 환경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영유아 보육시설 ‘디지털 트윈’ 구축 4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또한 해당 사업에는 안전한 승·하차 및 등·하원 여부, 영유아 위치 및 건강상태, 영유아가 있는 실·내외의 환경정보 등 등원에서 하원에 이르는 전 과정을 모니터링,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얼굴인식 및 상황인지기술 △스마트밴드를 활용한 신체모니터링 및 실내·외 위치추적기술 △모니터링 및 종합관제를 위한 디지털트윈기술 등이 적용됐다.
디지털 트윈기술은 실제 공간과 동일 정보를 가진 가상공간을 구성하는 기술로 다양한 모의실험(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김영훈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기술기획팀 팀장은 “스마트밴드는 현재 상용화된 기술을 이용해 도입하는 것”이라며 “개당 4만~5만원 정도 소요될 예정”이라면서 “아이들이 등원하면 착용하고 하원할 때 반납하며 관리는 보육시설에서 한다”고 설명했다.
도는 사업 추진을 위해 어린이집 1개소를 선정한 상황으로 시스템 구축이 완료될 경우,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보육교사들의 업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기술이 요양원이나 장애인시설 등으로 사업을 확대 적용할 경우, 노약자 등 취약계층 복지를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zeunb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