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오늘날 한국과 일본 간 역사 갈등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당시 진정한 문제 해결을 뒤로 제쳐두고 자국의 이익만을 좇았던 미국의 편파적 개입이 근본적 원인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난 2015년 만해평화대상을 수상한 지한파 알렉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역사학 교수는 23일(현지시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더러운 비밀’이라는 제목의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에서 현재의 양국 갈등은 미국 때문에 발생한 것이나 다름 없지만 아무도 미국을 지목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G20 정상 환영 및 기념촬영 식순 중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더든 교수는 한일 양국이 미국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하지 않는 것은 미국이 일종의 보증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지만, 현재 양국 갈등의 원인은 근본적으로 반세기 전 미국이 이기적인 의도로 한일청구권협정을 졸속으로 밀어붙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더든 교수는 특히 윌리엄 J. 세발드라는 미국 외교관을 당시 미국의 편파적 행동의 원흉으로 꼽았다. 세발드는 1946년부터 1952년까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고문 등으로 활동하며 해방 후 막후에서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로, 편파적으로 일본을 선호하고 한국에는 혐오감에 가까운 인식을 드러냈다.
더든 교수에 따르면, 세발드는 1965년 5월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전날 출간한 회고록 ‘맥아더와 함께 한 일본: 점령의 개인적 역사’에서 당시 동아시아에 대한 미국 정부 내의 지배적 인식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고 설명했다.
세발드는 일본의 유력 정치인들과 개인적 친분을 쌓으면서 일본 정치인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을 ‘내면화’했고 이러한 인식을 ‘공산화의 손아귀가 일본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는 미국의 이익에 접목시켜 한일 관계에 개입했다고 더든 교수는 전했다.
세발드는 회고록에서 한국에 대한 노골적인 경멸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한국인은 폭력 성향이 있으며 구시대에 갇혀 있다. 국민성 자체가 억눌려있고 음울하고 가난하고 음침하다”고 묘사했다.
세발드는 일본이 20세기 전반 동안 일본이 한반도를 강제 점령, 잔인하게 지배했고 수많은 한국인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했다는 사실이나 일본의 식민 통치가 한국 사회에 분열의 씨앗을 뿌렸다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더든 교수는 세발드의 이러한 인식은 당시 미국 주요 외교관들의 인식이나 미국의 이익에 맞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한일청구권협정 체결에 앞서 미국은 박정희에 대한 모종의 후원금을 베트남 전쟁 비용으로 전용하기를 원했고, 일본을 이러한 비용을 분담하는 파트너로 인식한 결과 한일청구권협정이 탄생했다는 설명이다.
더든 교수에 따르면, 1964년 5월 로버트 코머 당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리는 NSC 보좌관인 맥조지 번디에게 새로운 방법이 있다며 서한을 보냈다. 코머는 서한에서 “장기적인 부담을 공유할 누군가를 찾아야 하는데 일본이 논리적 해답”이라고 밝혔다.
당시 주일 미 대사였던 에드윈 라이샤워도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며 1964년 전보에서 “일본의 전면적 사과는 ‘극도로 민감한 작전’이 될 것”이라며 “과거의 불행한 역사를 덮어두고 우호 협력의 새로운 시대로 나가자는 진취적 성명이 과연 일본 국민들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한국인들의 감정을 누그러뜨릴 것인지 궁금하다”고 밝혔다.
더든 교수는 한일청구권협정 당시의 상황을 이처럼 설명하면서 “이 협정이 처음부터 잘못된 것이라면 그것은 미국의 편파적 이기심 때문”이라며 “미국은 빠른 해결을 위해 한국인이 후에 강제노역에 대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등의 골치 아픈 문제는 옆으로 치워뒀다”고 지적했다.
더든 교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일 관계 해결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면 미국 정부가 오랫동안 피해왔던 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