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강북 사업장 입찰 검토 '유일'
업계 "경쟁력 있는 업체 위주로 재편될 것"
[서울=뉴스핌] 최주은 기자 =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입찰이 시작됐지만 업체들의 관심 저조로 대거 유찰이 예상된다. 유찰은 신규 면세점 입찰 이래 최초가 될 전망이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관세청이 11~14일 진행하는 시내면세점 신규 사업자 선정에 면세 빅3사(롯데·신라·신세계)가 모두 불참할 예정이다.
빅3 면세점 기업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도 들어와서 줄줄이 접고 나가는 상황인데 이 시장이 녹록치 않다"며 "지불해야 하는 송객수수료는 늘어나는 반면 면세점 수는 많아져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청은 이번에 서울 3곳, 광주 1곳, 인천 1곳 등 전국 5곳 면세점 사업권을 내놨다. 2014년 6개에 불과했던 서울 시내면세점은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과 2016년 크게 늘었다. 관세청은 지난 2015년 15년 만에 신규 면세 허가권을 내줬다. 이후 특혜 시비가 붙었고 이듬해인 2016년 면세 사업권 4곳을 추가로 내줬다.
특허권을 자진 반납한 2곳을 포함해 서울 시내 면세점은 모두 13곳으로 포화 상태다. 현재 서울에서 롯데면세점이 3곳(명동·코엑스·월드타워점), 신라가 2곳(서울·용산점:용산은 HDC사업자와 공동) 신세계가 2곳(명동·강남점), 현대백화점과 동화, SM, 탑시티면세점이 각각 1곳을 운영 중이다.
신라면세점 전경[사진=신라면세점 제공] |
면세 사업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비유되다 최근엔 '미운오리 새끼'로 전락한 모양새다. 최근 신규 사업자들의 시장 진입으로 사업자가 잘게 쪼개졌다. 면세 사업은 직매입 구조로 덩치를 키워야 하는 '규모의 경제'로, 매입단가를 낮추고 교섭력을 높이기 위해선 한 사업자가 여러 곳의 사업장을 운영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난 2015년 이후 대기업을 비롯해 중소·중견 기업까지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부푼 꿈을 안고 면세 사업을 시작했지만, 대거 누적 적자의 쓴 맛을 보고 한화와 두산은 자진 철수를 결정했다. 한화와 두산의 3년간 누적적자는 각각 1000억원, 600억원대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단일 점포로 매입단가를 낮추는 게 어려웠고 수익성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지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면세점 사업은 직매입한 사업자가 많은 물품을 구매해 가격을 낮춰 수익을 높이는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부문"이라며 "기존 면세점이 B2C(기업ㆍ소비자 거래)였다면 지금은 B2B(기업 간 거래)로 변하고 있어 업력이 없는 회사가 운영하기에는 녹록치 않은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또 "현재 면세점을 운영하는 중견기업 다수가 적자를 보고 있고 대기업도 마찬가지"라며, "무조건 돈 버는 시장이라는 인식이 희석되고 있어 시장이 경쟁력 있는 사업자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시내 신규 사업자 선정에 현대백화점이 유일하게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현대백화점은 두산이 접기로한 두타면세점 운영권을 놓고 협상 중이다.
현재 서울 강남에서 면세점을 운영 중인 현대백화점은 외국인 관광객이 상대적으로 많은 서울 강북 진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두산과 부지 임대차 계약을 비롯해 다양한 사항을 협의하고 있다"며 "협의 후 면세점 입찰 참여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