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2020년 유망 중국 주식, 반도체 및 5G 통신주 수익성 우수

기사입력 : 2020년01월06일 17:10

최종수정 : 2020년01월08일 12:49

수익성 성장성 확보한 기술주 증시 핵심 축으로 부상
5G 보급 확대에 5G 통신 생태계 황금기 맞이해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 증시에서 높은 수익률과 성장성을 확보한 기술주가 본격적인 '개화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5G 관련 상장사들은 지난 2019년 높은 주가 상승세로 투자자들에게 '짭짤한 수익'을 안겨준 '효자 종목'으로 떠올랐다.  

경제 매체 제일재경(第一財經)에 따르면, 반도체 섹터의 연간 주가 상승폭은 128%을 기록했다. 또 다른 유망 섹터인 5G 통신 업종에서도 100% 이상 주가 상승률을 나타낸 종목은 10개를 넘어섰다.

기술주들은 이미 중국 자본 시장을 지탱하는 핵심 축으로도 자리 잡았다. 유력 매체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紀經濟報道)는 IT 기술 종목의 시가 총액 규모가 13조 6500만 위안을 기록, 전체 시총의 19%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기술 국산화' 대표 수혜 섹터 반도체 업종

중국 반도체 업종은 미·중 무역 분쟁과 당국의 '기술 국산화' 드라이브로 인해 유망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반도체 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업계의 판매 실적은 지난 2019년 기준 동기 대비 19.7% 증가한 3084억 9000만 위안에 달했다. 반도체 개별 업체 수도 4.8% 늘어나 1780개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줘성웨이(桌勝微·300782)는 반도체 섹터 중 지난 2019년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종목으로 꼽혔다. 이 종목의 지난해 연간 수익률은 710%를 기록, 귀주모태(貴州茅臺), 창춘고신(長春高新) 등 대형주와 맞먹는 창업판 간판종목으로 부상했다.

지난 2019년 6월 상장된 쥐성웨이는 5G 통신 시대와 맞물려 무선 주파수 송수신 반도체 유망 상장사로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았다. 삼성, 샤오미, 화웨이, 비보, 오포 등 주요 단말기 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고, 글로벌 점유율은 5%에 달한다. 통신 칩 업체인 쥐성웨이는 5G 테마주 및 화웨이 테마주로도 분류돼 다양한 투자 호재가 겹친 '핫 스톡'으로도 꼽힌다. 

각 기관들도 반도체 섹터의 전망을 낙관했다. 중금공사(中金公司)는 '중국 업체들이 무선 주파수 송수신 반도체 및 아날로그 반도체(Analog IC) 분야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얻고 있다'며 'CPU, 메모리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국산화 추세로 인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신(中信) 증권은 '고성능 클라우드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설계 자동화(EDA) 분야 토종 업체들은 당국의 기술 국산화 드라이브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쉬싱쥔(許興軍) 광파(廣發)증권 애널리스트는 '반도체 분야의 핵심 기술 국산화의 중요성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며 '향후 5년간 기술 국산화가 향후 투자 방향을 관통하는 핵심 테마로 부상할 것'으로 점쳤다.

◆5G 통신 생태계 황금기 맞아

5G 상용화가 개시된 중국에선 5G 통신 보급과 인프라 투자 확대로 관련 종목의 주가가 호조를 보였다.

중국정부 산하 싱크탱크 국제경제교류센터(CCIEE)는 '중국 5G 경제보고서'를 통해 올해 5G 통신에 대한 업계의 투자 규모가 약 153조 원(9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오는 2025년이면 1조 5000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개별 상장사들의 주가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증시플랫폼 윈드(WIND)에 따르면, 줘성웨이(桌勝微 300782) 후뎬구펀(滬電股份 002463) 우한판구(武漢凡谷 002194) 지난 2019년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 기록한 3대 5G 상장사로 꼽혔다. 이들 종목의 지난해 수익률은 각각 710%, 213%, 206%를 기록했다. 또 시총 1000억 위안대를 돌파한 5G 종목은 중싱통쉰(中興通訊), 펑딩쿵구(鵬鼎控股) 2 개 상장사로 집계됐다.

중국 매체와 기관들은 2020년 5G 통신 보급 확대로 관련 5G 생태계가 황금기를 맞이할 것으로 봤다.   

경제 매체 둥팡차이푸(東方財富)는 올해도 5G 통신 보급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5G 통신망 인프라 구축, 스마트 폰 교체 수요 급증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또 4G 통신에서 5G 통신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단계에서 스마트폰 업계의 재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점쳤다.

양루이원(楊銳文) 징순창청펀드(景順長城基金) 투자 책임자는 '올해 5G 단말기 교체 수요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차량 네트워크 등 관련 업계도 5G 보급 확대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측했다.  

쉬싱쥔(許興軍) 광파(廣發)증권 애널리스트는 '향후 2~3년간 5G 단말기 기종 교체 수요로 업계 실적 확대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옌구이청(閻貴成) 중신건투(中信建投) 증권 애널리스트도 5G 통신 보급으로 광 모듈 및 광 네트워크 설비 업체를 올해 유망 종목으로 꼽았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