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내외, 제60주년 기념일 맞아 희생자 묘역 헌화 및 묵념
유공자 5명 직접 포상도…"영원한 민주주의 상징으로 기억할 것"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일을 맞아 4·19혁명 희생자 묘역을 참배했다.
19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 내외는 이날 오전 국가보훈처 주최로 서울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 후 기념탑 뒤편으로 이동해 4.19혁명 희생자 중 무연고인 고(故) 전한승과 고 진영숙의 묘역을 참배했다.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3월 27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 열린 제5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마치고 천안함 피격 용사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2020.03.27 photo@newspim.com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
고 전한승은 서울 수송초등학교 6학년이던 1960년 4월 19일 수업을 마치고 귀가 중에 얼굴과 머리에 직격탄을 맞고 쓰러졌다.
전한승은 당시 바로 수도의대병원으로 후송됐으나 오후 5시경 숨을 거뒀다. 전한승의 사망은 당시 초등학생 의거의 시발점이 됐다.
고 진영숙은 한성여중 2학년이던 1960년 4월 19일 시위에 참가해 미아리 파출소를 거쳐 시내로 가던 중 미아리고개에서 머리에 총상을 입었다. 이후 세브란스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오후 8시경 사망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두 희생자의 묘역에 꽃바구니를 헌화한 뒤 묵념하며 희생자의 헌신과 뜻을 기렸다.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서울 서대문독립공원 어울쉼터에서 열린 제101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 및 기념관 기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2020.04.11 photo@newspim.com |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서도 2·28민주운동, 3·8민주의거, 3·15의거,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의 대표자 등과 함께 행사장에 동반 입장하고 헌화 및 분향하면서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위해 항거한 모든 민주영령들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정부는 '4․19정신'을 국민과 함께 계승하기 위해 민주 유공자 포상을 확대해 왔다"며 "앞으로 정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4·19혁명 참가자들의 공적을 발굴해 한 분 한 분의 이름을 민주주의 역사에 새기고 기리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4․19 혁명유공자 51명을 새롭게 포상한 바 있다. 또 이날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일을 맞아 5명의 유공자와 가족들이 문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포상을 수여받았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곳 국립 4․19민주묘지는 민주주의의 성지"라며 "2022년까지 부족한 안장능력을 확충해 모든 유공자들을 명예롭게 모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하반기로 연기된 '4‧19혁명 국민문화제'가 60주년의 의미에 걸맞은 국민 모두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또 "4·19혁명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국가 중 최초의 민주화운동이고, 전세계 학생운동의 시작이기도 하다"며 "정부는 그 의미를 특별히 기리고 4․19혁명의 정신을 인류에게 남기기 위해 4·19혁명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4·19혁명이 추구했던 정치적·시민적 민주주의를 넘어 모든 국민의 삶을 보장하는 실질적 민주주의로 확장하는 것,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구현해야 할 4·19혁명 정신"이라며 "현재 코로나19 감염병과 함께 엄중한 세계적 경제위기가 닥쳐왔고 이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닌 만큼,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국회에서도, 국민들께서도 함께 마음을 모아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우리 국민들은 김수영 시인의 말처럼 나라가 어려울 때마다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 민주주의를 실천했고,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 안의 민주주의가 어떻게 힘을 발휘하는지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우리는 4·19혁명과 함께한 선대들을 영원히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기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기념식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지침을 준수를 위해 규모가 축소된 채 열렸다. 당초 2500명 규모로 추진하려 했지만, 참석자를 200여 명 규모로 줄였다.
특히 최근 14일 이내 외국 방문자, 고위험군 등에 대해 참석 자제를 안내하고 참석자들도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채로 착석하게 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 가운데 진행됐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