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주택시장 침체 클 것으로 전망
"코로나19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서울=뉴스핌] 김지유 기자 = 국내 주택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전 산업 분야가 타격을 받으면서 주택시장 또한 급격하게 얼어붙었다. 이에 주택시장이 금융위기 당시처럼 장기적인 침체를 겪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택시장은 투자심리가 크게 꺾이면서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그동안 주택시장을 주도해 온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에서 최대 5억원 이상 내린 급매물이 속출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그러자 건설전문기관들은 앞서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국내 주택시장은 지난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상당한 침체기를 겪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2019.07.30 pangbin@newspim.com |
주택산업연구원은 국내 주택시장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처럼 'U자형 침체'를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주택시장 침체가 금융위기 때보다 장기화될 가능성도 우려했다.
주산연이 '주택시장 전문가 대상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0.8%는 주택시장이 '향후 1~2년간 급락후 점진적인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18.8%는 '3~5년 이상 침체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해 응답자의 약 70%가 주택시장 침체 장기화를 우려했다. 반면 '올해 말까지 단기급락 후 내년 상반기부터 회복세로 전환될 것'으로 본 응답자는 30.6%에 그쳤다.
주산연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국내 주택시장은 5년 동안 9% 수준으로 하락해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주택가격 등락폭이 큰 수도권 일부지역은 1~2년 동안 20~30%까지 하락해 전국 평균의 2배를 웃돌았다. 이후 국내 주택시장이 종전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는 3년이 걸렸다.
주산연 관계자는 "과거 주택시장에 나타난 패턴과 세계적인 경기예측기관의 전망에 따르면 이번 코로나19의 영향이 과거 두 번의 경제위기 이후의 영향에 비해 작지는 않을 것"이라며 "과감한 선제적 대응이 없으면 시장상황은 최악으로 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코로나19는 실물시장에서부터 위기가 점진적으로 확산돼 금융시장으로 전이되는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며 "위기의 전개과정과 확산과정이 느리면서도 그 기간과 폭은 더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설산업연구원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주택시장과 그에 따른 파급효과를 경고하고 나섰다. 앞서 외환위기와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주택거래량이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도 얼어붙을 것으로 추정했다. 건설연에 따르면 주택 거래량이 12개월 동안 3% 감소하면 민간소비지출은 5150억원(0.23%)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가 올해 가을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것으로 우려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또 올해 하반기부터는 상승한 종부세 반영 등 규제가 더 강화될 전망이어서 주택시장 침체가 가속화될 공산이 크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되면 지역경제가 침체되고 전 산업 분야가 타격을 받으면서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며 "자금난을 겪는 자영업들이나 기업들이 부동산을 잇따라 처분할 가능성이 있어 매수세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주택시장이 종부세 강화 등 규제로 더 어렵게 됐다"며 "자금 압박을 겪는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면 공급이 많아지겠지만 매수세는 늘지 않아 거래절벽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kimji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