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이번 장마철 집중 호우로 막대한 비 피해를 입은 섬진강과 영산강, 낙동강, 금강 네 강 주변은 갈수록 홍수 피해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환경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의 강수량 및 홍수량의 증가정도'를 전문가와 함께 검토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환경부는 올해 장마철 기상 예보 실패 등으로 인해 비 피해가 커지자 홍수피해 저감대책을 수립 중이다. 이보다 앞서 2014년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을 구성해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과 홍수량 변화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연구 중간결과 발표는 연구단 구성 후 처음이다.
이번 '기후변화로 인한 장래의 강수량 및 홍수량의 증가정도' 예측에는 13개의 '전지구 기후모델'과 2개의 지역 기후모델이 이용됐다. 온실가스 배출은 현재수준을 유지하는 시나리오(RCP 8.5)를 적용했다.
먼저 강수량의 경우 21세기초(2011~2040년)와 중(2041~2070년), 후(2071~2100년)에 각각 3.7%, 9.2%, 17.7%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1세기 후반에는 특정연도 강수량이 41.3%까지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월별로는 9월의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24.3%), 11월은 감소(-0.6%)해 계절적인 편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댐과 하천제방 등 홍수방어시설의 설계 시 이용되는 홍수량을 예측한 결과, 2050년경에는 홍수량이 현재 대비 11.8%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홍수량 증가는 유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전망됐다. 한강유역은 홍수량이 조금 감소(-9.5%)하는 반면 금강(20.7%), 낙동강(27%), 영산강(50.4%), 섬진강(29.6%) 유역의 홍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장래 강수량 및 홍수량 증가에 따라 현재 100년 빈도로 설계된 댐과 하천제방 등의 치수안전도가 지점에 따라 최대 3.7년까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현재 100년에 한 번 범람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하천 제방이 미래에는 4년에 한 번 범람할 수 있다는 의미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대한 검토와 함께 올해 강수량 및 강수규모에 대해서도 환경부, 기상청 등 다양한 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세밀하게 분석했한 결과도 발표했다. 지난해 홍수기(6월 21~9월 20일) 이후 장마시작 전까지(2019년 9월 21일~2020년 6월 23일) 전국 면적 강수량은 686㎜로 예년(520㎜)과 비교할 때 약 1.3배(132%)를 기록했다.
한편 장마기간(6월 24일~8월 16일) 전국 면적 강수량은 840㎜로 예년(492㎜)에 비해 약 1.7배(171%)로 나타났다. 특히 섬진강 유역은 1069㎜로 예년에 비해 약 2배(192%)의 강수를 기록했고 이는 이 일대 유역에 내린 역대 가장 많은 강수량이다.
지점강수량을 살펴보면 장마기간 최대 누적강수량을 기록한 곳은 강원도 인제 향로봉 지점이다. 연 강수량(1300mm)의 1.7배에 달하는 2164mm의 비가 채 두달이 되지 않은 기간 동안 내렸다.
또한 강우규모 분석결과, 남원과 광주지점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364㎜, 462㎜로 과거 최대치를 각각 54%, 22% 초과했으며, 이는 확률적으로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강수규모다.
박재현 환경부 홍수대책기획단장은 "장래 홍수량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댐과 하천 및 도심하수도 등 홍수방어체계 전반을 자세하게 점검해 개선방안을 마련함은 물론 홍수예보체계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