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산업 내 무역 의존도, 베트남 16.8%p·중국 8.9%p 상승
주로 첨단기술의 전자통신 업종에서 한국과 양국간 수출입 확대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최근 베트남·중국 등 아시아 역내 개발도상국들에 대한 한국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높아져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 내 무역'이란 같은 산업군 내 유사한 재화의 수출입이 동시에 이뤄지는 현상을 말한다. 산업 내 무역이 확대되면 그만큼 해외시장의 공급 및 수요 충격이 국내시장에 더 잘 전파되고 국내시장이 해외의 경기변동 흐름을 따라가는 동조화 가능성이 높아져 공급망 관리가 중요해진다.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주요국과의 산업 내 무역 변화 [자료=무역협회] 2020.12.14 iamkym@newspim.com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산업 내 무역 현황과 공급망 관리 전략'을 1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수출기업이 해외에 생산거점을 형성해 중간재 교역이 늘어남에 따라 국가 간 분업이 확대되면서 한국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2019년 기준 전체 수출의 42.7%로 2008년 31.8%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미국·일본·베트남 등 4개국 간 교역에서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중국(39.6%), 일본(32.8%), 베트남(25.1%), 미국(20.7%) 순이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베트남 및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각각 16.8%p, 8.9%p씩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미국 및 일본 등 선진국과의 산업 내 무역 의존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보고서는 "베트남,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은 주로 첨단기술의 전자통신 업종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됐다"면서 "중국과는 반도체 산업 교역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반도체 품목의 산업 내 무역 비중이 2012년 48.3%에서 2019년 62.0%로 증가했고, 베트남과는 가전(4.2%→63.9%) 및 무선통신기기(20.6%→64.6%) 등 품목의 산업 내 무역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베트남 및 중국과의 산업 내 무역에서는 주로 우리나라가 양국으로부터 단가가 낮은 저가 제품을 수입하고 우리나라는 다시 양국으로 고가 제품을 수출하는 추세가 확대됐다"면서 "수출단가가 수입단가보다 높은 ′품질우위의 수직적 산업 내 무역′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강성은 연구원은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큰 만큼 공급망 리스크도 확대될 수 있으므로 산업 내 무역 의존도가 높은 업종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