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양상추 품귀 현상...수입산 연어 도매가 30% 올라
일주일에서 한 달까지 수급 지연...중소업체 등 가격인상 조짐도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국제 물류대란에 갑작스러운 한파까지 가세하면서 식품·유통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해외에서 들여오는 농축산물 가격이 훌쩍 오른 데다 물류부담이 더해져 전반적인 식품가격을 압박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김장철을 앞두고 이른 한파가 찾아오면서 배추, 파, 마늘 등 국내 채솟값까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류대란발 수입 식품가격 급등에 한파까지...유통·식품업계 '비상'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입 농축산물 도매가격이 급격히 오르고 있다. 수입 수산물의 대표격인 노르웨이 연어는 국내 입고 가격이 20~30%가량 올랐다. 유가 상승으로 연어잡이 출항이 감소한데다 노르웨이 현지에서 물건을 실어올 항공과 선박컨테이너 공간이 줄어들어서다.
연어 단가는 지난해 10월 kg당 2만~2만3000 내외에서 올해 10월 2만 5000~2만9000원 안팎으로 상승했다.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산 냉동 수입새우와 아프리카산 문어도 단가가 각각 15%, 20%가량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부터 오르기 시작한 옥수수, 소맥, 대두, 원당 등 주요 곡물가도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가 최근 발표한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30.0포인트로 2011년 9월(130.4p)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곡물은 지난 8월보다 2.0% 상승한 132.5p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7.3% 올랐다. 유지류는 168.6포인트로 전년 동월 대비 60% 올랐고 유제품은 117.9p로 15.2% 상승했다.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국내외 원자재 및 연료 가격 상승으로 물가 상승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가운데 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올라 111.13(2015년 수준 100)으로 연속 상승세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로도 7.5% 상승한 수치다. 사진은 같은 날 서울 시내 대형마트 모습. 2021.10.21 kimkim@newspim.com |
신선식품을 비롯한 곡물, 유지류, 원당 등 해외에서 들여오는 식품 및 원재료 수급에 어려움이 커지면서 유통·식품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대량으로 선주문해 물량을 들여오고 상당량 비축분을 확보해놓은 대기업들은 비교적 피해가 적지만 중소 유통·식품업체들은 물류대란 직격탄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대기업들조차 특정 품목이 동이 날 경우 곧바로 수급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당장 물건을 실어올 선박 등을 찾기가 어려워서다.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3~4주까지 수급 일정이 변동되고 있어 각 업체마다 구매팀 직원들이 대처방안을 찾느라 바쁘게 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갑작스러운 한파로 국내 채솟값도 흔들리고 있다. 맥도날드는 지난 22일부터 햄버거 제품에 양상추를 빼는 대신 음료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써브웨이도 양상추 공급지연으로 일부 매장의 샐러드 제품 판매를 중단했다. 날씨 영향으로 양상추가 냉해를 입어 제때 공급이 어려워진 탓이다.
김장철을 앞두고 국내 채소 가격이 널뛰면서 장바구니 부담도 높아지고 있는 형국이다. 이날 기준 배추 도매 가격(10㎏)은 7524원으로 지난 18일보다 24.56% 올랐다. 무 도매 가격(20㎏)은 1만880원으로 같은 기간 29% 상승했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강원지역의 계속되는 가을 장마와 갑작스런 한파로 양상추 농가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어 양상추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수급 지연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물류대란 장기화 땐 부담 가중...가격인상 참았던 치킨·커피 인상 가능성도
업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물류대란 등에 따라 원재료비 인상이 장기화될 경우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수입 신선식품 도매가 인상 뿐만 아니라 곡물가격 등 원재료비 상승세가 지속되면 국내에서 생산하는 육류와 가공식품 등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서다.
아직까지 주요 기업들은 가격인상 없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한다. 다만 물류대란으로 급등한 신선식품 도매가가 소매가 인상으로 번지는 등 중소업체와 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실제 이달 기준 수입 냉동삼겹살 소매가가 전년 대비 30% 이상 오르는 등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말 장바구니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 과일의 경우 한창 심할 때 수급이 늦어져 문제가 되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 풀리는 등 품목별로 상황이 다르다"며 "물류대란에 따라 구매처나 구매경로 등을 다변화하고 자체 마진을 축소해 가격상승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업체들은 피해 정도나 인상압박이 상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식품업계에서는 올해 상반기 CJ제일제당, 풀무원, 동원F&B 등 업체가 통조림, 즉석밥, 두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데 이어 하반기에도 가격 인상이 이어졌다. 오뚜기, 농심, 삼양식품 등 라면 업체가 가격 인상을 단행했으며 원유가격 인상에 따라 서울우유를 비록한 유가공업체, 제과업체들도 인상 대열에 합류한 바 있다. 이미 올해 초부터 잇따라 제품 가격인상을 단행한 만큼 추가 인상에 대한 부담도 적지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21.10.26 romeok@newspim.com |
가격인상을 보류했던 치킨, 커피 등 외식업체들이 연말 가격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 원재료비 상승 압박이 커진데다 최저임금 인상과 배달비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다.
현재 시간당 8720원 수준의 최저임금은 내년 1월부터 5.05% 오른 9160원으로 적용된다. 또한 수도권 지역 배달대행업체를 중심으로 배달비가 잇따라 인상되고 있는 추세다. 일례로 수도권 한 배달대행업체는 계약 매장들에 3300~3500원인 기본배달비를 내달부터 4000~4500원으로 인상한다고 공지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원재료비 부담 등 압박을 받고 있지만 가격인상은 최대한 미뤄왔다"며 "다만 내년 최저임금에 배달료 인상까지 더해질 경우 기존 가격으로 버틸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피력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