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플라스틱·자동차부품 수출 가장 많아
2014년 제재시 자동차·TV 등 수출 '급감'
원자재 수급 차질·수입단가 상승 우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자동차와 TV, 화장품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시 해당지역과의 교역 중단뿐 아니라 원자재 수급난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등 광범위한 피해가 뒤따를 전망이다.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전경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20년만에 러시아 교역 비중 '껑충'...수출품목 '자동차' 1위
2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리 수출의 약 1.6%, 수입의 2.8% 비중을 차지하는 10위 교역대상국이다. 대 러시아 교역비중 순위는 지난 2000년 21위에서 2021년 10위로 크게 상승했다.
수출 품목은 자동차·부품(40.6%), 철구조물(4.9%), 합성수지(4.8%) 등이 약 절반을 차지한다. 거꾸로 수입하는 품목은 나프타(25.3%), 원유(24.6%), 유연탄(12.7%), 천연가스(9.9%) 등 에너지 수입이 전체 러시아 수입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의 전체 에너지 자원 수입 중 나프타(23.4%)는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으며, 유연탄(16.3%)과 무연탄(40.8%), 우라늄(33.9%)은 2위, 원유(6.4%)는 4위 수준이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와의 교역 규모는 러시아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연간 9억 달러 수준으로 68위의 교역대상국이다. 지난 2000년 57위에서 교역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우크라이나에 승용차(21.7%), 아연도강판(11.0%), 화장품(8.3%), 합성수지(7.7%) 등을 수출하고, 사료(39.8%), 식물성유지(11.3%), 기타정밀화학원료(9.7%), 곡류(7.8%) 등을 주로 수입하고 있다.
[제공=무역협회] |
◆2014년 크림반도 합병 후 서방 제재로 수출 급감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될 경우 국내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다수 포진해있는 자동차, 자동차부품, 화장품, 합성수지 등을 중심으로 교역 차질이 예상된다. 국내 기업 중 화장품 444개사, 기타플라스틱 239개사, 자동차부품 201개사, 합성수지 137개사가 러시아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오리온 등 한국기업 40여개사는 러시아 현지에 진출해 있다. 현대·기아차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연 23만대 규모의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삼성전자는 깔루가 생산법인을 통해 TV·세탁기를 생산 중이다. 오리온은 트베리주크립쪼바에 세 번째 신공장을 건설 중이다.
무역협회는 지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합병한 후 우리나라의 러시아 수출이 크게 줄었던 때와 같이 우리 수출입 거래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2014년 당시 우리나라의 러시아 수출규모는 101억 달러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후 1년이 지난 2015년에는 전년대비 53.7% 급감하면서 47억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62.1%), 칼라TV(-55.0%), 타이어(-55.9%) 등 당시 주력 품목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원자재 수급 차질, 수입단가 상승으로 국내 기업 부담"
러·우 사태가 악화될 경우 동 수입 원자재들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수입단가 상승으로 국내 제조 기업들의 수입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했다.
러시아는 지난 2014년부터 탈달러화를 계속 추진해왔다. 하지만 여전히 달러화 결제 비중이 50%가 넘어 이번 사태로 향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러시아가 배제되는 경우 우리 기업들의 대금결제 지연·중단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이다.
[제공=무역협회] |
수입 측면에서는 우크라이나에서 수입 중인 일부 희귀 광물류에 대해 거래선 다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의 교역 규모는 연간 9억 달러(교역대상국 68위)에 불과하지만,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네온·크립톤·크세논 등 품목의 우크라이나 수입의존도는 각각 23%, 30.7%, 17.8% 등으로 다소 높다.
무역협회는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이 심화돼 대러시아 제재와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우리 기업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서방과 러시아의 입장이 팽팽해 단기간 내 리스크 해소가 어려운데다 전쟁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어 우리기업의 피해 우려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꽃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우리 기업들의 사태 인식, 경제제재에 따른 영향, 원자재 수급난 등을 고려해 정부의 긴밀한 모니터링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