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오늘 A주] 우크라 충격 지속...상하이 올해 최저치 마감

기사입력 : 2022년03월08일 17:18

최종수정 : 2022년03월08일 17:18

상하이종합지수 3293.53(-79.33, -2.35%)
선전성분지수 12244.50(-238.93, -2.62%)
창업판지수 2582.99(-47.38, -1.80%)
과창판50지수 1137.07(-32.91, 2.81%)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우크라이나 전쟁 충격이 투심에 계속해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8일 중국 증시는 또 다시 급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2.35% 내린 3294.33포인트를 기록, 3300포인트 아래로 밀려나면서 올 들어 최저점을 찍었다. 선전성분지수는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전 거래일 대비 2.62% 내린 12244.50포인트를 기록했고, 창업판지수 역시 1.80% 주저앉은 2582.99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과창판(과학창업판·科創板) 시장을 대표하는 스타(STAR)50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낙폭을 더 키우면서 2.81% 빠진 1137.07포인트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8일 주가 추이

상하이와 선전 증시 거래액은 이날에도 1조 위안을 돌파했지만 외국인 자금은 2거래일 연속 순유출 됐다. 북상자금(北上資金, 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이 86억 9900만 위안의 순유출을 기록한 가운데,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해서는 55억 4800만 위안,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해서는 31억 5100만 위안이 빠져나갔다.

이날 지수 하락을 주도한 것은 석탄 등 자원주다. 연광그룹 Class A(兗礦能源·600188), 산시코킹석탄에너지그룹(山西焦煤·000983)이 각각 8% 이상 하락했고, 천안탄광업(平煤股份·601666), 미금에너지(美錦能源·000723), 대동석탄(晉控煤業·601001)이 모두 7% 이상 하락률을 기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원유 및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중국이 석탄 생산을 늘리기로 한 것이 가격 하락 우려를 부추겼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롄웨이량 부주임은 7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석탄 등 에너지의 생산 증대와 국가 차원의 비축량 확대를 통해 에너지 수급 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발개위 후쭈차이 부주임 역시 기자회견에서 "석탄은 중국 전체 에너지 소비 중 56% 비중을 차지한다"며 "석탄 가격 안정이 곧 전기 가격 안정이고 전체 에너지 가격의 안정"이라고 설명했다.

리튬 개발 섹터도 약세를 연출했다. 저장화유코발트(華友鈷業·603799), 천제리튬(天齊鋰業·002466) 모두 하한가를 찍었고, 강봉리튬(贛鋒鋰業·002460) 등 9% 이상 빠졌다.

중국 철강 정보 제공 플랫폼인 상해강련(上海鋼聯)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리튬 배터리 소재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해코발트 가격은 t당 7500~1만 2500위안 가량 올랐고, 배터리용 탄산리튬 가격은 1000위안 올라 t당 50만 3500 위안을 기록했다.

이밖에 전날 강세를 연출했던 세 자녀 테마주도 내림세로 전환했고, 종자 테마주도 하락 흐름을 피해가지 못했다.

반면, 동수서산 테마주들은 오름세를 보였다. 입앙기술(立昂技術·300603), 무업통신(中嘉博創·000889) 모두 15% 이상 급등했다.

'동수서산'이란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또 하나의 대공정(大工程·대형 사업)으로, 중국 내 발달 지역인 동부 연해 도시의 데이터를 서부 지역으로 옮겨 처리한다는 신형 인프라 발전 프로젝트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공업정보화부 등 4개 부처가 지난달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성)·창장삼각주·웨강아오(粵港澳大灣區, 광둥·홍콩·마카오)·네이멍구(內蒙古)·구이저우(貴州)·간쑤(甘肅)·닝샤(寧夏) 등 8개 지역을 주요 데이터 거점으로 10개 국가급 데이터 클러스터를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한 이후 동수서산 테마주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보건복지부가 오는 2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 복지부는 19일 '전공의 추가 모집 안내 공지'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 건의에 따라 5월 중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할 계획"이라며 "이번 모집은 오는 20일부터 5월 말까지 모집병원별 자율적으로 진행한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3.18 mironj19@newspim.com 사직전공의의 지원 자격은 지난 1월 10일 '사직 전공의 복귀 지원 대책'에서 발표한 수련 특례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번 모집 합격자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된다. 수련 연도는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적용된다. 한편 사직전공의들은 복귀를 전제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정원) 보장을 요구했다. 복지부는 언급된 조건을 대부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는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사직전공의가 이번 모집에 합격해 수련을 개시할 경우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월 복귀자와 마찬가지로 수련 기간 단축은 없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복지부는 이번 모집에 합격하는 사직전공의 TO를 보장한다고 밝혔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추가 모집에 대한 정부 입장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전공의 복귀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계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러 조사에서도 상당수 복귀 의사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지부는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밖에 구체적 모집 절차, 지원 자격 등은 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9 16:03
사진
시흥 연쇄 흉기 피습 4명 사상 [시흥=뉴스핌] 노호근 기자 = 경기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서 하루 사이 4건의 흉기 피습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경찰은 동일 인물에 의한 연쇄 범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로고. [사진=뉴스핌DB] 경찰 등에 따르면 19일 오전 9시 30분께 정왕동 한 편의점에서 60대 여성 점주 A씨가 50대 중국 국적의 남성 B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목과 복부에 중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같은 날 오후 1시 30분쯤 편의점 인근 체육공원 주차장에서 70대 남성 C씨가 흉기에 복부를 찔리는 또 다른 사건이 발생했다. C씨 역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치료 중이다. 또 편의점 근처의 한 원룸 건물 내에서는 남성 2명이 각각 다른 층에서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4건의 사건 발생 장소가 지리적으로 가깝고, 짧은 시간 내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범행 수법에도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단 1인의 연쇄 범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경찰은 사건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분석에 착수했으며,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용의자의 신원 및 동선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 간 시간 간격과 위치 등을 감안할 때 동일범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며 "신속한 검거를 위해 모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seraro@newspim.com 2025-05-19 16:1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