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0년부터 3년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해로 기록될 것 같다. 코로나19가 사회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의 재편이 눈에 보이는 변화라면 교육, 직업훈련, 평생교육 등은 두고두고 전 국민의 생애에 영향을 줄 장기적 과제로 보인다. 코로나 3년간 잃어버린 기회비용은 '어떤' 형태의 청구서로 '언제' 우리에게 돌아올지 모른다.
저자는 KNOU위클리(한국방송통신대 출판문화원) 기자이자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교육 환경에서 두 자녀를 키워야 하는 아빠이기도 하다. 코로나 상황에서의 학습 단절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인지, 코로나로 인한 학습격차 해소는 요원한 것인지, 뉴노멀로 자리잡은 '비대면 교육' 시대에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고민을 씨줄과 날줄로 엮어냈다.
최근 발간된 '교육대전환, 리더에게 묻다'(지식의날개)는 코로나 이후의 교육 변화에 대한 작가와 이 시대 내로라하는 유아·교육·직업 전문가의 성찰이 녹아있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04.11 wideopen@newspim.com |
◆코로나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 '결핍' '격차'
'교육대전환, 리더에게 묻다'는 크게 6장으로 구성됐다.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장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코로나 전후의 유·초·중·고교 교육에 대한 현실과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국가교육개발원장을 지낸 반상진 전북대교수,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을 지낸 나영돈 한국고용정보원장은 달라진 고용 환경과 고등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짚었다.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초입에 들어선 평생교육의 방향성을,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은 교육정책 전체를 설명했다.
1장에서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장은 코로나라는 팬데믹 상황으로 유아문제가 사회에서 오롯이 부모에게 전가됐다고 지적한다. 다만 부모는 못하는 부분을 본인의 탓으로 돌리지 말고, 자녀와 추억을 쌓는 시간을 보내라고 조언한다. 부모가 주는 그늘이 여전히 있으면 큰 성장이 어렵다는 지적은 시대를 뛰어넘는 울림이다.
코로나시대 게임에 과몰입하는 자녀를 대하는 태도도 달라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자녀에게 '무슨 게임 하니'가 아니라 '무슨 게임이 이렇게 재밌니'라고 물어보며 같이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과몰입을 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무엇 때문에 힘이 드는 것인지 원인을 찾아야 아이와 신뢰를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코로나19가 강제 소환한 온라인수업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 등을 거시적 관심에서 짚었다. 또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방식이 미래의 K-에듀의 길이라고 제시했다. 코로나로 발생한 학교의 공백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이나 성적이 중간 이하인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간의 격차도 지나치게 벌어졌다는 것이 조 교육감의 진단이었다. 등교확대는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한 조치였다는 설명이다.
◆출신 대학이 보장하는 시대는 끝났다
반상진 교수는 신자유주의에 따른 경제 질서의 공백 상태를 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에 과학기술의 발전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과거의 교육방식을 유지할지, 대전환으로 내딛을지에 대한 선택의 기록에 놓였다고 봤다.
매년 구호처럼 반복되는 문구인 '대학의 위기'에 대해서 '학벌구조'를 지목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이스트와 같이 지방에도 좋은 대학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반 교수의 지적이다. 가고 싶어도 못 들어가는 대학을 지방에도 만들면 어느 학부모가 안심하지 않겠느냐고 되묻는다.
또 학벌 구조가 채용 구조인 한국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을 통해 좋은 대학을 많이 만들어 대학생태계부터 혁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우리의 교육에서 대학 입시밖에 할 말이 없는 현실도 지적했다. 정·수시 비율에만 천착하는 현재의 구조에는 한계가 있다는 취지다.
나영돈 원장은 고용정책 전문가답게 코로나로 변화한 고용시장을 예리하게 분석했다. 직업과 전공의 불일치 비율이 50%에 이르는 상황에서 직업교육훈련이 교육시스템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고, 결국 학벌 중심 사회로 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앞으로의 필수 부전공을 데이터로 해야 한다는 나 원장의 지적은 주목할만하다.
◆"50대를 위한 폭넓은 평생교육 기회를"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장은 주된 일자리에서의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 퇴직을 하는 50대를 위한 평생교육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50대에서 재취업, 직업교육훈련이라는 단순 프로그램이 아니라 새로운 인생의 단계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더 폭넓게 준비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강 원장은 초·중·고교가 지역의 평생교육 기능을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대도시를 제외하면 학교에 학생이 있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 학교를 지역 주민 전체를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진경 의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서구모델 추격형 모델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한다. 새롭게 생산된 지식을 빨리 받아들여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이들에게 주입하는 방식에서 지역과 현장을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짚었다.
저자 윤상민은 성균관대 학사,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과 마르세유 1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교수신문, 뉴스컬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아주경제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6년 연극부문 우수 리뷰에 선정됐다. 공저로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곳'이 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