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소가윤 기자 = "인공지능(AI) 교육을 하더라도 개별 맞춤형 학습이 구현되려면 시간 많이 걸려요"
학교에는 전자 칠판과 태블릿PC가 들어왔고 이제 AI 교육이 학교 문턱을 넘어서고 있다. 3선에 성공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AI 기반 맞춤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해 학생들의 개인 학습 속도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서울시교육청 내부에서조차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AI 맞춤형 학습 시스템을 갖춰 사교육을 찾지 않도록 하겠다는 조 교육감의 이상도 멀게만 느껴진다. 여전히 공교육에서 AI 학습 플랫폼 활용은 민간 사교육 업체들에 기대고 있어서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수립한 AI 융합기반 혁신미래교육 중장기계획을 2025년까지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도 서울 내 AI교육 선도학교 150곳이 선정됐지만, AI 활용 학습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는 의문이 든다.
이유는 데이터에 있다. AI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려면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학습 빅데이터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문제 풀이를 진행하면 풀이 소요 시간과 오답률, 다양한 오답 원인까지 분석돼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가 장기간 축적돼야 학생 수준을 진단하고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공교육이 주도적으로 AI 맞춤형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시점을 알 수 없는 이유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가장 먼저 자체적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AI) 교육 플랫폼 '아이톡톡'을 개발한 경상남도교육청도 데이터 수집 단계에 머물러 있다. AI 교육 플랫폼을 데이터 수집기로 활용하는 셈이다. 고작 걸음마 단계인 서울시교육청이 외치는 맞춤형 지원에 고개를 끄덕일 사람이 몇이나 될까.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020년부터 40억원의 예산을 들여 자체 개발한 서울 원격수업 지원 플랫폼 '뉴쌤(newSSEM)'을 발전시켜 AI 기반 교육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뉴쌤은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수준까지만 구축돼있다.
개인정보 보호 문제 때문에 데이터 수집부터 쉽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이후 유의미한 학습 데이터를 정제하는 작업도 필요하기 때문에 여러 과목에서 개별 맞춤형으로 학습을 진행하기에는 힘든 단계라는 내부 목소리가 나온다.
미래 교육에서 AI 기술 활용의 필요성은 공감을 얻고 있다. 다만 공교육 체계에서 한계가 있다면 민간 업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AI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한 민간 사교육 업체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상중하 방식으로 분석하는 게 아니라 개인의 성취도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있다.
교육청 중심의 공교육 정책을 고집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학생을 우선으로 하는 교육이 '다양성'의 또 다른 이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ona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