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기 연속 정치국원, 후베이성 이창 산골 수재
20대 상무위원 진출 유력, 유력 총리후보 물망
공청단파 베이징대 리커창 총리와 배경 닮아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위원인 후춘화(胡春華) 부총리가 20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상무위원에 선출될지 주목을 끈다고 홍콩 밍바오가 3일 보도했다.
밍바오는 20차 당대회가 채 2주도 남지않은 가운데 후베이성 이창의 산골마을 후춘화 부총리의 고향을 찾아 르포 형식으로 후 부총리의 출생과 정치 인생을 집중 조명해 눈길을 끌었다.
후 부총리는 20차 당대회 폐막 다음날 소집되는 20기 1중전회에서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단 진입이 유력시되는 인물이다. 또한 2023년 3월 양회에서 국가직 보직으로 리커창 총리 뒤를 이어 국무원 총리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치국원인 후춘화 부총리는 8월 31일 2022년 베이징 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 개막식에서 상무위원 한정 부총리의 기조연설에 앞서 시진핑 총서기겸 국가주석의 축사를 대독하기도 했다.
밍바오는 2022년 59세인 후춘화 부총리가 20차 당대회에서 상무위원단에 진입할지, 2023년 양회때 리커창 총리 후임으로 국무원 총리에 오를지 큰 관심사라고 보도했다. 후춘화 부총리는 18기와 19기에 정치국 위원을 역임했으나 유력시됐던 19대 정치국 상무위원단에는 뽑히지 못했다.
후춘화 부총리는 당초 천민얼 현 충칭시 서기와 함께 시진핑 총서기의 유력한 후계자로 주목 받던 인물이다. 당초 베이징 정가 소식통들은 후춘화 부총리와 천민얼 서기가 모두 19차 당대회(19대, 2017년)에서 7인 상무위원단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후춘화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위원겸 부총리. [사진=바이두]. 2022.10.03 chk@newspim.com |
이런 예상을 뒤엎고 공산당 19차 당대회에서 후 부총리와 천민얼 서기가 결국 상무위원단에 진입하지 못하자 중국 안팎의 정치 컨설팅 전문가들은 시진핑 총서기가 20대(2022년)에서 3연임을 노리고 있다고 예측한 바 있다.
밍바오는 후춘화 부총리가 1963년 4월 후베이(湖北) 이창(宜昌) 우펑투자주(五峰土家族)자치현에서 태어났으며 1979년 현 문과 수석 성적으로 베이징대학에 입학했다고 밝혔다. 후 부총리는 우펑현 역사상 첫 베이징대 대학생으로 알려졌다.
밍바오에 따르면 후춘화 부총리가 태어난 우펑은 어시산구에 위치해있고 경제 발전이 뒤진 가장 대표적인 빈곤촌으로 알려졌으며 후베이 이창시에서도 200킬로미터나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밍바오는 후 부총리가 태어난 산골 마을을 찾아 후 부총리 가족사 등까지 세밀히 보도함으로써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상무위원단 진입및 차기 총리직과 관련해 후 부총리에 쏟아지는 하마평의 무게를 실감케 했다.
촌민들에 따르면 후 부총리는 아주 가난한 집의 7형제자매 중 네째로 태어났다. 촌민들은 후 부총리의 성이 본래 왕씨였으나 나중에 모친의 성을 따라 후씨로 성을 바꿨다고 전하고 있다.
밍바오는 후춘화 부총리가 고향을 찾는 일은 아주 드물지만 2019년 5월 고향을 찾아 운동화에 셔츠 차림으로 친지및 동네 주민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온 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밍바오는 당 18대(2012년)와 19대(2017년)에 걸쳐 두차례나 25인 중앙 정치국원에 뽑힌 후춘화 부총리가 이번 20대(20차 당대회, 엄밀하게는 당대회 폐막 다음날 열리는 20기 1중전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회 멤버에 진입할지 뜨거운 이슈라고 전했다.
후 부총리가 상무위원에 진입할 경우 2023년 3월 양회에서 국가 보직으로 국무원 총리나 전국 정협 주석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아무리 밀려도 최소한 제 1 부총리로서 현재 한정(韓正) 부총리 자리를 차지할 기회가 있다고 밍바오는 전했다.
밍바오는 정치 관측통들을 인용해 후춘화 부총리가 총리에 선출될 경우 10년 동안 총리직을 수행할 수 있다며 다만 그럴 경우 앞으로 국가주석직을 맡을 가능성은 희박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밍바오는 후춘화 부총리를 비롯해 '시진핑의 비서'로 알려진 딩쉐샹 중앙판공청 주임, 천민얼 충칭시 당 서기 등을 집중 조명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 3인은 모두 19기 중앙 정치국원(25명)으로 20기 권력구도의 향배와 관련해 주목받는 1960년대생들이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