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주식비중 축소·현금 비중 확대 전략 추천
PB "3~6개월 단기예금 추천, 만기 후 장기전환"
"ELS, 6개월 후 30% 빠져도 수익률 6% 중반"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으면서 미국 기준금리(3.75∼4.00%)가 4% 시대를 열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월 빅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현재 3%인 기준금리가 연말 3.5%, 내년 초엔 3.75~4%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 연준의 금리결정이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고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 전문가들과 PB들은 자산관리 전략으로 '현금비중 확대'를 추천했다. 여윳돈이 있으면 코스피200과 연계된 ELS(주가연계증권)도 눈여겨 볼 상품으로 꼽았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3일 "연준은 이번 FOMC를 통해 고강도 긴축과 경기 불확실성 확대, 경기 모멘텀 약화라는 이중고에 상당기간 시달릴 수 밖에 없음을 재차 확인시켜 줬다"며 "전략적으로는 주식비중 축소, 현금비중 확대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신한투자증권 리서치센터도 기존의 주식 비중 축소, 채권 비중 확대, 현금 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했다.
![]() |
고객이 은행 창구에서 상품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사진=우리은행] |
구체적으로 PB들은 물가와 금리의 동반 상승으로 침체 국면이 올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현재 고금리 메리트가 있는 '단기예금'을 우선 자산관리전략으로 추천했다. 3~6개월 단위 단기예금을 운용하면서 만기가 도래하면 좀 더 만기가 긴 상품으로 갈아타는 방식이다.
조현수 우리은행 양재남금융센터 PB팀장은 "금리 방향성은 위로 열어놓지만 내년 6월 정도가 고점이고, 경기가 나빠지는 신호가 나오면 위로 올라가는 것도 제한될 것"이라며 "예금은 3~6개월 단위로 운용하는 것이 좋고 만약 시기가 끝나면 장기적으로 보상해주는 상품으로 가도 괜찮을 것"이라고 했다.
이원휴 하나은행 영업1부 PB센터지점 골드PB 부장도 "포트폴리오상 여유자금이 있다면 정기예금은 (단기예금을) 금리 높은 때 가입하고 기간이 긴 걸로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했다.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원할 경우 ELS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현수 PB팀장은 "코스피지수가 고점 대비 1000포인트 이상 빠졌는데, ELS의 경우 기초자산으로 코스피 200이 들어가 있는 것도 있고 빠져있는 것도 있지만 6개월 뒤 30%까지 빠져도 (수익률이) 6% 중반이 나온다"며 "월지급식은 9.6%까지 주고 있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있으면 ELS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자산가들은 채권 중에선 전자단기사채(전단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