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뉴스핌의 중국 제휴 언론사 <금교>가 제공합니다. <금교>는 중국 산둥성 인민정부판공실이 발행하는 한중 이중언어 월간지입니다. 한국 독자들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첫 번째 중국 정부의 한글 잡지로 한중 교류의 발전, 역동적인 중국의 사회, 다채로운 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해 드릴 것입니다.
[서울=뉴스핌]정리 주옥함 기자=토끼는 예로부터 아름다움의 집합체다. 총명, 민첩, 상서로움, 온화, 착함, 순결, 우호… 아무리 칭찬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그래서 토끼는 역대 문인과 선비들의 붓 끝에 '총아'란 존재로 여겨 왔다.
최근에 '토끼해가 되어 상서롭고 길한 것을 만나다'란 절묘하고 빼어난 골질 도자기 띠 접시가 정유계, 무술개, 을해돼지, 경자쥐, 신축우, 임인호 등 일련의 작품을 이어 약속대로 등장해 예술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 작품의 작가는 중국미술가협회 회원이자 국가 1급 미술사, 예술 대가 한메이린(韓美林) 선생의 입실 제자인 쉬더콴(徐德宽)이다.
[사진= 금교 제공] |
1971년 그는 공자·맹자의 고향이자 제나라의 옛 수도인 쯔보(淄博)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산둥인의 강인함과 돈후함, 호방함과 연달함을 타고났다. 목수였던 아버지는 초상화를 특히 잘 그려서 어릴 때부터 그는 아버지를 따라 초상화와 가구의 옻칠을 많이 했다. 시간이 갈수록 그는 그림에 푹 빠졌다. 그래서 예술과 평생의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 뒤에 쉬더콴은 산둥(山東)경공업미술학교 도자기디자인학과에 입학하여 조각과 중국화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엄격하고 자율적인 공부 습관, 빈틈없는 진지함, 그리고 꾸준한 노력 덕분에 그는 탄탄한 전문적 기초를 다지는 동시 명암 속에 그의 인생의 전기를 마련하는 복선도 깔아 두었다.
1991년 막 학교에서 나온 쉬더콴은 우연히 한메이린 대가를 만났다. 그 때 한메이린 대가는 창작을 하기 위해 쯔보에 갔는데 그는 한 대가를 도와 조각품 몇 점을 완성했다. 다행히도 그의 성실함과 진지함은 대가의 마음에 많이 들어서 그 뒤에 바로 한메이린 대가의 문하로 들어갔다. 1993년에 그는 중국미술가협회 한메이린 작업실에 들어가 공부하면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쉬더콴은 30년을 하루같이 연수에 몰두하며 열심히 연구하였다. 스승님의 세심한 가르침과 훈도로 스승님의 필묵의 신운과 각종 표현기법을 차츰 터득하게 되었으며 또 자신의 특징을 결합하여 서화, 조각, 도예 등 서로 다른 예술 형식을 융합시켜 세련된 필법으로 풍부한 의미를 표현하여 일련의 개성이 뚜렷하고도 매력적인 예술작품을 창착하였다. 띠에 관한 작품 시리즈는 그중 하나다.
"토끼는 중국 전통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 12개의 띠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달의 대표이기도 하며 중국 민간에는 토끼에 관한 전설, 예를 들어 투얼예(兔兒爺) 등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중국 사람은 예로부터 토끼를 매우 좋아해 오며 사람들의 마음 속에서 토끼는 아름답고 적극적인 상징이기도 합니다."라고 쉬더콴은 말했다. 이런 토끼의 아름다운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그는 머리를 한번 썼다.
"토끼의 이미지는 하나는 사실적인 표현이고 다른 하나는 캐릭터화된 이미지입니다. 치바이스(齊白石) 대가는 '그림의 묘함은 닮았느냐 마느냐 사이에 달려 있는데 너무 닮았으면 미속한(媚俗, 세속을 따라가다) 것이지만 닮지 않으면 세상을 속이는 것이다'라며 중국화는 특히 이것을 중시합니다."라고 쉬더콴은 말했다. 그래서 그는 많은 토끼의 이미지를 연구해 봤다. "캐릭터화된 이미지에는 변형이 너무 심하고 중국화 화가들이 너무 사실적으로 그렸습니다." 수 차례의 탐구를 거쳐 그는 한메이린 선생님이 그에게 가르쳐 준 기법을 통해 사실감과 장식감 사이에서 느낌을 찾아냈다. 즉 미속한 부분을 빼고 토끼의 귀엽고 보송보송한 느낌을 그리는 것이다.
[사진= 금교 제공] |
그가 그린 토끼를 자세히 보면 초롱초롱한 큰 두 눈에서 천연의 영성을 발산하고 있으며 추호까지 보이는 가느다란 솜털에서 독특한 운치를 드러내고 있으니 부르면 곧 뛰어나올 듯 매우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역동적인 창작은 그의 삶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실천의 축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저는 어릴 적부터 작은 산촌에서 살았습니다. 그때의 아이들에게는 갖가지의 장난감이나 전자게임이 없어서 매일 새, 나비, 각종 벌레 등 산속의 작은 동물들과 놀기만 했습니다. 우리 집에서 토끼도 키워서 자세하고 많이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라며 쉬더콴은 토끼에 대한 가까운 접촉과 관찰은 바로 그때의 경험덕분이라고 말했다. "그 당시 토끼를 키우는 것은 우리 아이들의 일이었으며 매일 그들에게 풀도 뽑고 나뭇잎도 따 줘야 했어요. 토끼는 음식을 먹을 때 입이 엄청 빨리 움직이며 경계심도 매우 높았습니다. 산속의 산토끼는 모두 황회색으로 털이 짧고 마른 편이었습니다. 그 토끼들이야말로 저에게 끊임없이 창조적인 영감을 주었습니다."라고 하며 그는 그때의 경험을 돌이켜봤을 때 지금도 눈앞에 선한다. 무엇보다 오랜 세월의 침전과 양성을 거치면서 오늘날의 쉬더콴은 예술의 본질을 깨달았으며 풍부한 문화적 붓으로 자신의 진실한 느낌을 그려낼 수 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그의 예술적 경지와 뗄래야 뗄 수가 없다.
"저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미술이라고 하기 때문에 무술이나 산수가 아닌 아름다움에 관한 기술이어야 하며 아름답고 긍정적이며 대중의 기분을 좋게 하는 주지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아속공상(雅俗共赏, 고상한 사람이나 속인이나 다 같이 감상할 수 있다)'한 작품이야말로 좋은 예술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해서 그의 작품에서는 화려하거나 과시적이거나 과장된 겉치레를 찾아볼 수 없다. 그는 "좋은 작품은 먼저 자신을 감동시켜야 관중을 감동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추구하는 것은 항상'아름다움'이란 것입니다. 여러분이 제 작품을 보고 즐거웠으면 그걸로 충분합니다."라고 쉬더콴이 말했다.
토끼해가 다가옴에 따라 쉬더콴은 그의 띠 접시 작품인 '토끼해가 되어 상서롭고 길한 것을 만나다'의 길의를 빌어 모두가 토끼해에 상서로움과 길함을 만날 수 있고 더욱 아름다운 생활을 계속하기를 기원한다.
[금교(金橋,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 잡지)=본사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