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부터 치료비 전액 지원"…희망 병원 선택도 가능
집단 트라우마 시달리는 학교에 찾아가는 상담버스 제공
교원 심리검사 정례화하고 맞춤형 심리측정 도구 제작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최근 학교 현장 교원들의 극단적 선택이 연이어 발생하는 등 교원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자 정부가 '교원 마음건강 TF(태스크포스)'를 운영하고 상담 및 전문적 치료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올해 2학기부터 도입되는 '교원 마음건강 회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 |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대강당에서 서울시 교육청 주최로 열린 서이초 교사의 '49재 추모제'에 동료 교사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희망하는 모든 교원은 2학기 내 심리 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에 따라 원하는 곳에서 전문가의 심리 상담과 전문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심리 검사는 온라인이나 각 시도교육청의 교원치유지원센터 또는 광역시·도와 시군구 단위로 운영되고 있는 보건복지부 정신건강복지센터를 방문해 받을 수 있다. 현재 교원치유지원센터는 26개소, 정신건강복지센터는 26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심리 검사 결과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교원치유지원센터에서 상담(치유)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희망하는 교원은 보건복지부와 연계된 민간 전문가와 심층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위기 교원에게는 교육부와 연계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치료를 제공한다. 교원은 교육부와 연계한 협력 병원을 이용하거나, 주거지 인근 전문병원 등 원하는 곳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
치료비는 전액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지원할 예정이다. 교원치유지원센터 등 자체 예산을 통해 사후 지원하거나 교원이 선 지불 후 교원치유지원센터에 사후 정산 신청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교육부는 관련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마음안심버스 사진. [사진=뉴스핌 DB] |
극단적 선택을 한 교원이 있는 학교 등 상담·치유가 필요한 교원이 여럿일 경우 보건 보건복지부가 해당 학교를 직접 찾아가는 '마음안심버스' 심리상담을 제공한다. 마음안심버스는 중·대규모 재난 발생 시 현장에 투입되는 버스로 버스 내부에서 재난 정신건강 평가·의료기기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 측정, 안정화 프로그램 및 심리교육, 개인 상담 및 집단상담 등을 받을 수 있다.
업무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특수교원, 초등 저학년 담임 교원과 아동학대 신고 경험 등으로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위험군 교원을 위한 우선 심리상담 기간도 마련됐다.
오는 9월 4주부터 10월 4주까지 심리검사, 10월 첫 주부터 12월 둘째 주까지 상담 및 치료 등이 이뤄진다.
다만 교육부는 이 같은 심리 검사 및 상담・치료 기간 설정은 교원이 특정 기간에 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한 일종의 권장 사항이라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는 교원은 언제라도 검사받고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교육부는 2년 단위로 교원에 대한 심리 검사를 정례화할 방안과, 교원 전용 맞춤형 심리 검사 도구를 개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또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와 교원단체, 교육청 홈페이지 등에 긴급 심리 상담이 가능한 상담 번호를 게재하고, 자살 사고가 발생한 학교가 희망하면 심리지원 전문가를 신속히 투입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선생님들의 마음 건강 회복이 공교육 정상화의 첫 시작"이라며 "교육부-보건복지부 공동전담팀을 계속 운영해 선생님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지원책을 발굴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