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만에 상승세 꺾여...이달 10억선도 위태
거래 줄고 매물은 늘어...추격매수보다 관망
금리, 경기 등 불확실성 여전...집값 급반등 제한적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주택시장에 매수 관망세가 늘어나고 집값에 대한 불안심리가 높아지자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이 6개월 만에 낮아졌다.
집값 반등세가 두 달 정도 이어지고 있지만 전망이 불투명하다 보니 대기 수요자들이 추격 매수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단기간에 치솟은 반등세에 매수가격 부담이 커진 데다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에 관망세가 더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서울 아파트 평균 거대금액 10.7억...전달比 5% 하락
1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10억7608만원으로 전달대비(11억3185만원) 대비 4.9% 하락했다.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이 하락한 것은 지난 3월 이후 6개월 만이다. 2021~2022년 집값 폭등기에 12억원을 상회하던 평균 거래금액은 침체기에 빠졌던 작년 하반기에 8억~8억4000만원으로 낮아졌다.
올해 초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 이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반영되며 평균 금액이 상승세로 전환했다. 지난 1월 9억7000만원으로 올라선 후 4월에는 10억원대를 회복했고 8월에는 11억3000만원을 넘어 연중 최고치를 돌파했다. 전고점인 12억원대 진입을 앞두고 9월 평균 거래금액이 하락한 것이다.
이달(13일 기준)은 평균 거래금액이 9억9857만원으로 10억원선도 위태롭다. 잔여일수 거래동향을 살펴봐야 하지만 평균 거래금액 9억원대 진입은 지난 3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 거래금액이 낮아진 것은 높아진 매도가격에 추격 매수가 줄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2021년 하반기부터 시작한 집값 하락분은 올해 50% 이상 회복한 상태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지난해 22% 하락했던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이 올해 들어 7월까지 11% 올라 하락폭의 절반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과 여의도, 용산 등 정비사업 지역과 교통망 호재지역의 경우 전고점을 돌파한 단지도 상당수다. 투자수요보다 실수요 위주의 주택시장에서 단기적인 가격 급등은 매수세 확산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기존주택의 가격 상승에 무주택자들이 청약으로 내 집을 마련하는 움직임도 한층 늘어나고 있다.
◆ 금리, 경기 등 불확실성 여전...급반등 기대감 미미
주택시장에 관망세가 더 확산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층 높아진 주택가격도 부담이지만 금리인상, 경기둔화 우려 등 시장의 불확실성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대출금리가 다시 뛰면서 주택매수 여력이 감소했다.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는 지난 4일 기준 4.17~7.121%로 집계됐다.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상단이 7%대를 넘어섰다. 주담대 5년 고정형 금리는 4.00~6.441%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정금리 역시 최근 하단이 4%대로 올라섰다. 미국의 장기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어서 국내 대출금리도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매수세가 줄어든 반면 집을 팔려는 매도자는 늘고 있다. 아파트 실거래가 제공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한달전(7만 139건) 대비 6.9% 증가한 7만4981건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매물은 올해 1월 이후 4만 건대 후반에서 5만 건대 초반을 오르내렸다. 4월 들어 6만 건대로 늘더니 지난 8월 처음으로 7만 건대(7만406건)에 진입했다. 거래가 주춤한 상황에서 물량이 쌓여 매도호가 지지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집값이 단기간에 급등한 데다 금리인상,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상반기 대비 주춤해졌다"며 "서울지역의 경우 집값 폭락이 폭하기보다는 당분간 거래량이 줄면서 집값이 보합선을 유지하는 시장 흐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