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경인·경원선, 철도 지하화 추진 전망
주거환경 개선되고 상층부 연계 개발 가능
용산구·영등포구 등 공간 단절지역 최대 수혜
수십조원대 공사비, 지역간 마찰 등 해결해야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수도권 지상 철도를 지하화하는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특별법)이 최근 국회를 통과하면서 철로 주변의 개발 대상 지역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음과 진동으로 불편했던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데다 상층부와 연계한 공원, 상업시설 개발 추진으로 대상 부지의 가치가 대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부선 철도망에서는 서울·용산역, 영등포역 인근이 최대 수혜지로 꼽힌다. 특히 코레일과 서울시가 추진하는 용산 정비창 '용산역세권'사업이 날개를 달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대규모 사업인 만큼 정부의 철도 지하화 종합계획과 지자체의 노선별 기본계획 등을 수립하는 데 최소 2년 이상의 세월이 필요하다. 수십조원에 달하는 공사비 부담도 적지 않아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 주거환경 개선, 공간 단절 최소화 등 지역가치 상승 기대감
16일 부동산업에 따르면 지난 9일 '철도 지하화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수혜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하화 추진 노선으로 ▲경부선 서울역~당정 구간(32㎞) ▲경인선 구로~도원역 구간(22.8㎞) ▲경원선 청량리~도봉산 구간(13.5㎞)이 추진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시절에 이들 지역의 지하화를 공약한 바 있어서다.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특별법) 시행으로 경부선 일대가 주목받고 있다. 서울역-용산역 경부선 지상 철도 모습 [사진=용산구] |
특히 유동인구가 많고 업무지구의 중심축을 담당하는 경부선 노선이 최대 수혜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 사업이 가시화하면 용산역과 서울역 일대가 가장 크게 변화할 공산이 크다.
먼저 개발사업이 시작된 용산 역세권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용산을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 40배 규모의 '아시아식 실리콘밸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하고 있다. 용산정비창 주변으로 개발하는 국제업무지구를 비롯해 캠프킴·유엔사 개발, 전자상가 재생사업, GTX A·B노선 개통 등 60여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동안 지상으로 철도가 지나면서 소음과 진동뿐 아니라 공간 단절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철도 노선이 지하화하면 주거환경 개선과 동시에 대규모 개발사업이 복합적으로 이뤄지는 장점이 있다.
용산역 일대 A공인중개소 대표는 "용산지역 안에서도 경부선 철도가 지나는 용산, 이촌동 일대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했는데 지하화가 현실화하면 이들 단지의 수혜가 가장 클 것"이라며 "공간이 단절되는 부분이 해소돼 서울시가 추진 중인 용산의 국제업무지구 계획에도 탄력을 받을 것이란 분위기"라고 말했다.
지자체도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120년간 단절된 용산이 하나로 통합되는 계기가 될 것이란 게 용산구측 입장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철도 지하화는 자연과 사람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공간 구조로 바꿀 수 있는 청신호가 될 것"이라며 "용산역에서 서울역을 잇는 경부선 철도 상부 개발로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공원과 함께 도시 속 도시로 세계인의 눈길을 사로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부선 철도로 지역이 남북으로 갈라지고 개발이 미진했던 영등포구도 기대감이 높다. 영등포구측은 경부선 철도를 걷어낸 뒤 그 상층부와 주변부를 청년층 창업 공간, 문화·휴식 공간, 대규모 녹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 막대한 공사비, 지역간 마갈 등 해결 과제
서울의 부도심이지만 노후화가 진행돼 옛날의 영화를 잃을 위기에 놓인 영등포역 일대도 이번 철도 지하화 특별법 수혜를 톡톡히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영등포구는 이번 특별법 시행에 따라 관내 대방역~신도림역 철도 3.4km 구간에 대한 사업을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영등포구를 두 개로 나눈 지상철도를 없애고 그 자리에 ▲젊은이들을 위한 창업 공간 ▲4차 산업 관련 첨단 일자리 유치 ▲문화도시 위상에 걸맞은 문화‧휴식 공간 ▲도심 속 대규모 녹지 등을 도입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구는 이에 대비해 2024년도 예산에 '경부선 일대 종합발전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용역비 3억5000만원을 편성했다. 지난 5일에는 '경부선 일대 종합발전 방안'을 주제로 직원 아이디어 발굴 워크숍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4차산업 산학 밸리 조성, 경부선 숲길조성, 영등포역 복합환승센터 구축 등의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영등포역 전경 [사진=영등포구청] |
다만 철도 지하화가 지역 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개발사업이나 도시관리계획의 연결성을 높이는 장점에도 실제 현실화까지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철도 운영을 유지하면서 지하를 파고 사업자를 선정해 지상을 개발하는 방대한 프로젝트로 사업계획 수립까지 최고 2~3년의 세월이 걸릴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철도 지하화의 종합계획이 수립되고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노선별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지하화 부지의 민간 소유자, 지하상가 상인 등과도 협의해야 한다. 특별법 통과로 예비타당성을 우회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사업 과정은 신설 노선보다 기존 노선의 재정비가 더 복잡할 수 있다.
막대한 사업비 조달도 해결해야 한다. 경부선 노선인 서울역~당정역 18개역 구간(1호선 32km)의 지하화 공사비는 9조6153억원(1km당 30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인선 구간인 구로~도원역 19개 역사의 지하화 공사비는 6조5563억원으로 예상된다. 경기도 파주에서 서울 강남구를 잇는 GTX-A(향후 동탄 연결) 노선 사업비가 2조7000억원이란 점을 감안할 때 지하화에 따른 공사비가 2~3배 넘게 들어가는 셈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도심 철도의 지하화는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별법이 통과된 만큼 종합계획, 공사비 조달 등 구체적 추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