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적극 지지 "서로 지원하고 협력할 것"
김영호 통일장관 "도쿄 가려면 서울 거쳐야"
김여정 담화는 '한·미·일 균열' 의도 강해
G20 회의에 모이는 한미일 장관 관련 논의 주목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15일 밤 담화를 통해 일본이 핵·미사일 개발과 납치 문제에 대해 문제삼지 않는다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평양을 방문할 수도 있다고 밝힌 이후 동북아시아 정세에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북한의 위협에 안보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을 강조해온 한·미·일이 수면 위로 부상하기 시작하는 북·일 대화 탐색 움직임에 엇갈리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서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사진=조선중앙통신 홈페이지] |
북한과 일본이 3번째 정상회담이라는 목표를 놓고 서로 상대의 의중을 파악하려는 신호를 주고받고 있는 상황에 대해 미국은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미라 랩-후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오세아니아 담당 선임국장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한 토론회에서 북·일 정상회담 추진 움직임에 대해 "미국이나 파트너들이 북한과의 관여를 원하고 해야할 이유가 있다고 판단한다면 우리는 서로를 지원하고 협력하며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박 미 국무부 대북고위관리도 "우리는 북한과 모든 종류의 외교와 대화를 지지한다"면서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의 반응은 신중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16일 북한과 일본의 정상회담 움직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정부는 일북 접촉을 포함해 북핵·북한 문제 관련 일측과 긴밀히 소통 중"이라는 원론적 답을 내놨다. 특히 이 당국자는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해 북·일 접촉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같은날 아리랑TV 인터뷰에서 "지난해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 이후 한·미·일 3국 협조 체제는 그 어느 때보다 견고하다"면서 "서울을 거치지 않고 워싱턴과 도쿄로 절대로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본이 한국과 상의없이 북한과 접촉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북·일 대화에 먼저 적극성을 보인 것은 일본 쪽이었다. 기시다 총리는 2022년 유엔 총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아사히 신문 보도에 따르면 북한과 일본은 이를 계기로 2023년 3월과 5월에 동남아에서 비밀접촉을 가졌다.
지난달 5일 김정은 위원장은 '일본국 총리대신 기시다 후미오 각하'에게 "일본 노토반도 지진피해에 심심한 동정과 위문"을 전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어 기시다 총리는 지난 9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북·일 정상회담을 위해 '여러 활동'을 하고 있다면서 "작금의 북일 관계 현상에 비춰 봐 대담하게 현상을 바꿔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는 기시다 총리가 이같이 발언한 뒤 6일 만에 나왔다. 납치문제와 핵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는 단서를 달긴 했지만 상당히 이례적인 반응을 보인 담화였다. 이에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관방장관은 납치문제가 해결됐다는 김 부부장의 발언은 "전혀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도 김 부부장의 담화에 "유의한다"고 답했다.
지난해 7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사진=외교부] |
정부의 한 당국자는 "북한과 일본의 대화 타진은 과거부터 이어져온 흐름의 연장선상"이라면서도 "김여정 담화는 시기나 내용으로 봤을때 한·미·일 협력에 균열을 시도하려는 의도가 강해 보인다"고 말했다. 납치 문제와 핵 문제를 거론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단 김 부부장 담화는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는 점에서 실제 북·일 정상회담 성사보다 다른 의도가 있어 보인다는 분석이다.
일본의 대북 접근에 한국과 미국의 반응이 온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미·일 외교장관들이 오는 21~22일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에 모일 예정이어서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조태열 장관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上川陽子) 일본 외무상과 대면하게 된다. 3국 장관의 별도 회동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북한 문제에 대해 한·미·일이 일치된 공조 의지를 재확인하는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