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러시아

속보

더보기

[러시아 대선②] 5선 푸틴, 우크라 전쟁 몇 년 더...북한과는 더욱 밀착

기사입력 : 2024년03월14일 16:39

최종수정 : 2024년03월15일 08:29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오는 15~17일(현지시간) 치르는 202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71) 대통령의 5선이 확실시된다.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면 푸틴은 2030년까지 집권하게 된다. 이는 이오시프 스탈린 서기장의 30년 통치에 버금가는 기록이자 개헌을 통해 6선도 가능해 오는 2030년 선거에서도 승리하면 2036년까지 사실상 종신 집권이 가능하다.

'어차피 푸틴'인 선거이지만 지켜봐야 할 것은 득표율이다. 푸틴 대통령은 선거 때마다 기록적인 득표율로 당선됐는데 지난 2018년 대선 당시 그는 76.7%로 승리한 바 있다.

친정부 성향인 러시아 여론조사센터 브치옴(VCIOM)은 지난 6일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푸틴의 대선 예상 득표율이 82%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크렘린궁이 밝힌 목표치인 75~80%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12일(현지시간) 러시아 스푸트니크와 인터뷰 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높은 득표율은 푸틴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러시아 국민의 높은 지지율을 반영한다.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더욱 밀어붙일 동력을 얻게 되는 셈이다.

◆ 높은 국민적 지지 등에 업고 전쟁 "2~3년 더" 

푸틴 대통령 선거 캠페인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미국과 서방의 안보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수호하는 것으로 묘사하며 군사작전을 완수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국제사회에서는 비판받는 러시아 침공의 전쟁이 러시아에서는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탄압받는 친(親)러시아 주민들을 해방하고 미국과 서방의 동진(東進) 위협으로부터 안보를 지키는 특별군사작전이다.

엄격한 언론 통제 덕분인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에 대한 국민 지지도는 엄청나다. 러시아 독립 여론조사 기관 레바다가 지난해 12월 14~20일과 올해 1월 25~31일 러시아 전역 도시 및 농촌 성인 인구 각각 1606명과 16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지지율은 77%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관의 지난해 11월 조사 때보다 3%포인트(p) 상승한 결과다. 군사작전에 반대한다는 여론은 16%에 그쳤으며 러시아가 반드시 승리할 것이란 여론도 77%로 나타났다.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의 한 주민이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선거관리위원회 소속 직원이 건넨 투표함에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용지를 넣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강력한 국민적 지지에 더해 올해 처음으로 선거가 실시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루한스크, 남부 자포리자, 헤르손 등 러시아가 강제로 병합한 지역 4곳에서조차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다면 푸틴 대통령은 이를 명분삼아 전쟁을 지속할 힘을 얻게 된다. 병합된 주민들도 푸틴 대통령의 '해방' 군사작전을 지지한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어서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러시아군이 전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우크라이나와 서방이 "조만간" 러시아의 협상 조건에 따라 평화협정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대 쟁점이 되는 러시아 측 조건은 강제 병합한 4곳을 우크라이나 정부와 서방이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는 영토 포기는 없다는 입장이어서 평화협상 재개는 희박하다.

미국과 서방의 군사지원 없이는 전쟁 지속이 힘든 우크라이나와 달리 러시아는 향후 2~3년 더 전쟁을 이끌 능력을 갖췄다고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바스티안 기게리히 사무총장 겸 최고경영자(CEO)이 지난달 진단한 바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달리 자체적으로 무기를 생산하는 국가인 데다 인도와 중국 등에 원유 수출로 막대한 전쟁 자금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 북한과 '기브 앤 테이크' 더욱 밀착...푸틴, 방북 때 추가 거래할까 

우크라이나에 미국과 서방이 있다면 러시아에는 드론을 대주는 이란과 미사일, 포탄을 제공하는 북한이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고 했는데 그해 11월 북한은 성공적으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발사했다.

푸틴은 위성 기술을 이전한 대신 북한으로부터 포탄과 미사일 등 전쟁 무기를 지원받고 있다. 최근에도 무기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북한 나진항 위성 사진. [사진=로이터 뉴스핌]

13일 북한 전문 매체 NK뉴스는 러 민간 항공사 JSC 아비아콘 지토트란스의 대형 화물기 'IL-78TD' 화물기가 평양을 방문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항공기 추적 결과 이 화물기는 지난 12일 오후 평양에 내렸고 그다음 날 중국과 몽골 상공을 통과해 모스크바로 돌아갔다. 이 화물기와 항공사는 로켓, 탄두, 헬리콥터 부품 등 군사 장비를 수송해 왔다며 미국이 지난해 제재를 가한 대상이다. 러시아가 북한에 물건을 전달하고 북한산 군수 물자를 실어 돌아왔을 것이란 추측이다.

지난 10일에는 북한의 나진항에 러시아 대형 선박 '레이디R호'가 위성 카메라에 포착됐는데 해당 선박은 미국의 제재를 받는 무기 거래 화물선이다. 북한제 포탄과 단거리 탄도 미사일 등이 실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처럼 러시아는 북한의 조력으로 전쟁 무기를 확보 중인 가운데 푸틴 대통령은 올해 선거가 끝나고 북한을 답방할 예정이다. 

푸틴은 평양에서 김 위원장과 "매우 좋은" 공동 성명과 패키지 합의문 서명이 있을 것이라고 지난달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대사가 현지 매체에 밝힌 바 있다. 

두 사람이 평양 정상회담에서 어떤 추가 협상 거래에 나설지가 관심이다. 북한이 계속해서 러시아에 전쟁 무기를 지원하는 조건으로 러시아에 핵 프로그램 등 첨단 군사기술 이전을 요구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오고 있어 러 대선 후에 있을 북러 정상회담에 귀추가 주목된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23년 9월 13일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4년 만에 북러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 인사를 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