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스포츠 국내스포츠

속보

더보기

[스포츠 인앤아웃] 1000만 관중과 KBO의 낡은 보고서

기사입력 : 2024년04월11일 16:23

최종수정 : 2024년04월12일 10:23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011년 초 1000만 관중을 낙관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무려 13년 전 일이다. 공교롭게도 이 보고서의 작성 책임자는 허구연 현 KBO 총재이다. 그가 야구발전실행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을 때였다.

당시 이 보고서를 주목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당장엔 죽었다 깨어나도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때만 해도 8개 구단이 팀당 133경기씩 총 532경기를 치르던 시대였다. 로또 당첨보다 어려운 전 경기 매진의 기적이 일어나야 1050만 명의 관중 동원이 가능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지난달 23일 LG와 한화의 시즌 개막전이 열린 잠실야구장. 올해 프로야구는 70경기 만에 100만 관중을 돌파, 10개 구단 체제가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빠른 페이스를 기록했다. mironj19@newspim.com

◆KBO의 2011년 장밋빛 보고서

그렇다면 이 보고서는 휴지통으로 들어갔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정반대였다. 프로야구 관중은 보고서가 발표되고 첫 시즌인 2011년 681만 명으로 급증한 뒤 2012년 715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는 보고서의 예상 관중 달성 연도를 단숨에 10년가량 앞당긴 것이었다.

8개 구단 체제는 그대로이고, 3만 석 구장이 새로 생긴 것도 아니었다. 달라진 게 있다면 구장의 좌석점유율이었다. 2004년 22.1%로 2000년대 들어 최저였던 좌석점유율은 2011년 64.8%, 2012년 68.0%로 치솟았다. 이 정도면 야구 선진국인 미국 일본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는 수치다.

2013년 NC가 합류한 9구단 체제에선 2년 연속 650만 명 안팎으로 답보 상태를 겪었다. 팀당 128경기씩 총 576경기가 치러져 44경기가 늘어났지만 홀수 팀이 벌이는 리그에선 한 팀이 경기를 치르지 못해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였다. 글로벌 경제위기와 세월호 사건 등 외부 요인도 관중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2015년 kt가 1군에 합류해 KBO리그는 보고서에 쓰인 대로 10구단 체제의 마지막 퍼즐을 완성했다. 경기 수는 팀당 144경기를 치르게 돼 총 720경기로 대폭 늘어났다.

이후 결과는 어땠을까. 당연히 관중은 2015년부터 3년 연속 신기록 행진을 벌였다. 2017년엔 사상 최다인 840만 명을 기록, 1000만 관중 동원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늘어난 경기 수만큼 관중은 증가하지 않은 게 문제였다. 평균 관중은 1만1668명으로 2012년(1만3451명)에 비해 1783명이나 줄었다. 신생팀 합류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도 있었지만, 인기구단인 '엘롯기(LG 롯데 KIA)'의 오랜 부진이 더 큰 원인이었다.

이후 프로야구는 코로나19와 또 한 번의 경제위기를 겪으며 개점휴업 상태에 들어갔다. 2020년 관중은 고작 32만 명이었다. 그러나 2022년 607만 명, 지난해 810만 명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2022년은 허구연 총재가 취임한 첫 시즌이기도 하다.

◆1000만 관중을 향해 다시 뛰는 2024시즌

올해 KBO리그는 9일 70경기만 치르고도 관중 101만 2624명을 기록했다. 65경기 만에 100만 명을 돌파한 2012년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빠른 페이스다. 10개 구단 체제에선 처음이다.

올해 100만 명 돌파에 더욱 눈길이 가는 이유는 8개 구단이 경쟁한 2012년의 532경기보다 무려 188경기나 많기 때문이다. KIA와 한화가 초반 흥행을 주도하고 있는데다 넓은 홈구장을 가진 지난해 챔피언 LG와 최근 2년 연속 우승팀 SSG가 건재하다.

이 추세가 그대로 이어질 경우 올해 관중은 산술적으로 1042만 명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허구연 총재는 일주일 전 인터뷰에서 "올해 1000만 관중은 어떻게 보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한 마디로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유는 굳이 그의 설명을 들을 필요도 없이 간단하다. 2012년 사상 최고의 좌석점유율이 나온 것은 삼성 SK가 우승 경쟁을 벌이고, 두산 롯데 LG KIA가 상위권 경쟁을 벌인 때문이다. 2만 석 이상의 홈구장을 가진 팀이 한꺼번에 상향평준화를 이룬 해였다.

더 중요한 이유는 야구 인프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좌석수가 많은 구장은 잠실, 인천, 사직도 아닌 대구 구장이다.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는 2만4000석으로 잠실(2만3750석), 인천 SSG랜더스필드(2만3000석), 사직(2만2758석)을 능가한다.

올드팬들에겐 생소한 이야기겠지만 현실이 그렇다. 이제 3만 석 구장은 전국 그 어디에도 없다. 전용구장이 없는 상황에서 구장 시설은 갈수록 낙후돼가고, 그래서 관중석을 점차 줄여가는 제 살 깎아먹기를 해온 탓에 그렇게 됐다. 1964년 개장한 대전의 한화생명이글스파크는 1만2000석에 불과해 전 경기 매진을 해도 86만 4000명밖에 안 된다.

이미 2011년의 낡은 보고서에 해답은 다 나와 있다. 이 보고서에는 좌석 점유율이 55%만 돼도 대구 광주 대전 목동(현 고척) 구장의 좌석 수가 2만5000석 이상이면 1034만 명 동원이 가능하다고 돼 있다. 결국 야구 인프라 확충이 유일한 해결책인 셈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결코 소홀히 흘려보낼 대목이 아니다.

zangpabo@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금감원, 고려아연 '불공정거래' 혐의 조사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금융감독원이 고려아연이 공개매수와 유상증자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는지 불공정 거래 조사에 착수했다.  31일 금융감독원 서울 본원에서 열린 현안 간담회에서 함용일 부원장은 "(고려아연이) 투자자 보호를 위해 거짓 누락사항 없이 충실하게 알리는 공시 기본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고려아연의 공개매수와 유상증자 과정에서 불공정 거래 개연성이 있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조사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 조치 취할 예정이다"고 했다. 금감원은 이날 오전 고려아연 공개매수 및 유상증자에 관여한 미래에셋증권 현장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3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위해 브리핑룸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10.31 mironj19@newspim.com 금감원이 집중하는 부분은 고려아연 공개매수 과정에서의 법 위반 여부다. 만약 고려아연 이사진이 공개매수를 결의한 시점에서 이후의 유상증자 계획까지 알고 있었는데도 공개매수 신고서에 해당 내용을 누락했다면 문제라는 인식이다. 금융감독원은 고려아연 공개매수 신고서에서 유상증자 예정 내용이 없었다는 점을 중요한 정보 누락으로 보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주주들이 대규모 유상증자가 예정돼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공개매수 의사결정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부정거래에 해당될 수 있다는 의미다.   또 고려아연 공개매수 사무 취급을 한 증권사와 유상증자를 모집 주선한 증권사는 모두 미래에셋증권으로 같다. 따라서 시기가 겹치므로 이를 독립적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미래에셋증권도 2개의 사안을 모두 알았을 수 있다는 의심이다. 이는 현재 현장 검사 중으로 확실한 내용은 조사결과가 나와 봐야 알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함 부원장은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모집 주선자로 돼 있어 주관사로 하는 거보다는 민사적 책임이 덜하겠으나, 부정거래가 성립된다면 자본시장법상 증권사는 불법 행위 알고도 눈 감는 걸 못하게 돼 있으므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의 최근 유상증자와 관련해서는 "시장 불안을 충분히 인식 중"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증권신고서 충실 여부를 점검해 증자의 목적, 배경, 주주에 미치는 영향, 공개매수 시 밝힌 목적에 부합하는지, 투명 공시 여부 등을 확인해 유상증자를 동시에 추진한 경위 등을 살피고 위계 부정거래 등의 위법행위 파악 시 관련 증권사에 대해서도 엄중히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고려아연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심사는 법정 검토기간인 10일 이내에 진행되며, 필요시 감독당국의 정정 요구도 가능하다. 현재 분위기로는 정정신고요구가 불가피해 유상증자 시기가 늦춰지거나 극단적으로는 유상증자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longinus@newspim.com   2024-10-31 17:42
사진
정유경 ㈜신세계 회장은 누구?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정유경 ㈜신세계 회장이 신세계 총괄사장을 맡은 지 9년 만에 회장으로 승진했다. 정유경 신임 회장은 이명희 신세계그룹 명예회장의 외동딸로 30일 단행된 '2025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회장으로 승진했다. 정용진 회장이 그의 오빠다. 정유경 회장은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 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에서 디자인을 전공했다. 정유경 ㈜신세계 회장. [사진=신세계그룹] 1996년 조선호텔에 상무보로 입사해 호텔과 디자인 업무를 맡았으며 지난 2009년부터는 신세계로 자리를 옮겨 부사장에 오른 이후 패션 관련 사업을 진행했다. 2015년에 신세계 총괄사장으로 취임한 뒤 외형 성장을 일궈냈다. 출점한 지역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다져온 결과다. 신세계백화점은 올해 상반기까지 사상 최대 매출을 이어가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올 상반기 6조1928억원의 매출고를 올렸다. 작년 동기 대비 5.5% 성장한 수준이다.  정유경 회장이 총괄사장으로 승진한 첫해인 2015년 상반기 매출액(3조3530억원)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신장한 수준이다. 정유경 회장이 백화점 사업을 6조원 규모로 키워낸 것이다. 한편 신세계는 백화점 사업을 영위하며 면세 부문인 신세계디에프(DF), 패션·뷰티 부문인 신세계인터내셔날, 신세계센트럴시티, 신세계까사, 신세계라이브쇼핑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nrd@newspim.com 2024-10-30 11: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