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등 전통매체 위협
유튜브로 실시간 중계되는 유세 현장서 각종 이슈 생산
원색적인 진행 방식이나 지지 진영의 편향 보도는 논란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유튜브가 선거판을 뒤흔들었다. 유튜브를 기반으로한 선거관련 유튜브 채널이 전통적인 미디어인 방송3사 선거방송의 입지까지 뒤흔들면서 강력한 매체파워를 과시했다.
특히 유튜브 방송인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는 선거기간 내내 선거판을 주도했다. 김어준이 직접 설립한 여론조사 회사인 '여론조사꽃'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여론조사 결과를 전하면서 파란을 일으켰다. 또 날카로운 정치평론으로 인기가 높은 유시민을 출연시키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등 선거 이슈의 중심이 된 인물들이 잇달아 출연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개표방송. [사진 =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화면 캡처] 2024.04.12 oks34@newspim.com |
검색어 등을 통해 다양한 트렌드를 조사해서 분석하는 랭키피아는 4월 11일 진행한 인기 트렌드 '김어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김어준은 10대(3%)부터 50대(41%)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관심을 얻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김어준 겸손은 힘들다, 김어준 여론조사,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 관련 검색어가 높은 주목을 받았다. 현재 유튜브 채널 '겸손은 힘들다'는 157만명의 구독자를 갖고 있다. 선거 당일인 10일 저녁 개표방송은 순간 접속자가 28만명까지 치솟는 등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선거를 앞두고 유튜브 정치 방송의 폭발적 증가는 선거유세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의 지방 유세 현장에는 수십명의 유튜버들이 집결한다. 선거 유세 현장의 일거수일투족을 생중계 하면서 지지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유튜버들의 현장 중계 덕분에 가장 큰 수혜를 입은 사람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다. 그가 유세 현장에서 했던 모든 연설들이 유튜브에 쇼츠 영상으로 퍼지면서 큰 화제를 모았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유튜비들이 인천 계양구 유세에 나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둘러싸고 촬영을 하고 있다. 2024.04.12 oks34@newspim.com |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도 유튜브 생중계 덕을 크게 본 케이스다. 이대표의 모친인 김향자 씨는 유세차에 올라 "왼쪽 가슴은 정치인 아들 이준석, 오른쪽 가슴엔 내가 배아파 낳은 이준석으로 (품고 있다)"면서 눈물로 아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한국 정치에서 유튜브의 영향력이 커지는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지난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한국의 유튜브를 통한 뉴스 소비가 53%에 달해 미국의 2배 이상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또 정치 유튜브 채널 820개 중 80% 이상에서 증오와 적대적인 표현을 사용했다고 분석했다.
유튜브 방송이 생생한 정치 현장 소식을 전달하면서 시민들의 알권리 충족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역기능도 만만치 않다. 지상파 방송이나 종편 채널에서는 비교적 균형잡힌 보도로 편향적인 보도를 하지 않는다. 또 각종 방송심의로부터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금기도 넘쳐난다. 그러나 유튜브는 처음부터 대놓고 자신이 지지하는 진영을 분명히 하면서 상대 진영을 비판한다. 지지자들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건 당연하다.
유권자들은 여든 야든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세력에 우호적인 유튜버들의 채널을 선호한다. 또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유튜브 특성상 어느 한편으로 기우는 뉴스를 소비하게 된다. 지난해 한국정치학회가 유튜브를 시청하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신의 이념과 다른 정치 채널을 '신뢰한다'고 답한 경우가 8% 밖에 되지 않았다. 주창윤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유권자들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면서 반복적으로 시청한다"면서 "군형잡힌 보도를 하는 TV나 신문에 비해 훨씬 자유로운 진행으로 유권자들의 욕구를 해소해 준다"고 분석했다.
선거방송에서 유튜브 채널의 약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유튜브 채널은 광고주의 영향을 받는 신문이나 방송에 비해 '구독'과 '좋아요'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갈수록 극단적인 단어선택이나 편향성을 보이는 건 유튜브 만의 특성일 수도 있지만 불특정 다수를 상대하는 만큼 지양해야 된다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