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뮤지컬 '하데스타운'이 숱한 좌절에도, 다시 일어서는 희망을 노래한다. 아름다운 고전 신화의 틀에 담은 현대적인 메시지로 관객들과 만난다.
현재 샤롯데씨어터에서 '하데스타운'이 공연 중이다. 지난 2021년 코로나 팬데믹 당시 한국에서 아시아 초연된 이후 재연으로 돌아왔다. 조형균, 박강현, 양준모, 김우형, 지현준, 김선영, 최재림, 강홍석을 비롯해 초연 캐스트가 대부분 돌아오며 '명작'의 재현에 힘을 보탰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뮤지컬 '하데스타운' 공연 장면. [사진=에스엔코] 2024.07.25 jyyang@newspim.com |
◆다시 쓰는 오르페우스 신화…한층 강력해진 노래와 메시지
막이 열리고 '하데스타운' 행 열차에 탑승한 관객들은 신과 인간들의 이야기에 푹 빠져든다. 헤르메스(최정원)의 안내로 오르페우스(박강현)와 에우리디케(김환희)를 만나고 이들의 사연에 귀를 기울인다.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은 아내 에우리디케를 되찾으려 지하 세계로 향하는 오르페우스 신화는 봄과 가을이 사라진, 정상이 아닌 시대에 추위와 배고픔의 위기에 처한 젊은이들의 사랑이야기로 그려진다. 지하 세계를 떠나 봄을 가져오는 페르세포네(김선영), 지하 광산을 독점한 자본가 하데스(지현준)는 두 젊은이들을 방해하기도, 공감하고 동정하기도 한다.
오르페우스 역의 박강현은 순수하고 맑은 눈빛과 목소리로 세상의 봄을 가져올 채비를 한다. 그가 부르는 노래에 에우리디케는 사랑에 빠지고, 페르세포네는 감명받아 과거의 추억을 떠올린다. 하데스마저 감복시킨 그의 순수한 영혼은 박강현의 섬세한 연기와 노래로 무대 위에 살아난다. 대표 넘버인 '기다려 줘'와 '에픽3'에서는 자연스럽게 모든 관객들이 뭉클한 감동에 젖어든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뮤지컬 '하데스타운' 공연 장면. [사진=에스엔코] 2024.07.25 jyyang@newspim.com |
김선영이 연기한 페르세포네는 타성에 젖었지만 여전히 마음 속에 사랑을 간직한 여인이다. 처음의 사랑하던 마음을 잊은 남편에게 지쳐하면서도, 그를 떠나지 못하고 젊은이들의 절절한 사랑 노래에 동정심을 표현한다.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뮤즈의 아들인 오르페우스와,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가 반인반신(半人半神)의 설정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두 캐릭터가 공감하는 지점을 어렵지 않게 상상할 수 있다. 최정원의 헤르메스는 마치 엄마처럼, 따뜻하면서도 커다란 품을 지닌 친절한 안내자다. 진심으로 오르페우스를 동정하면서도, 선택에 순간에 엄격하고 단호한 태도로 그의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반복되는 부조리가 고단할지라도…다시 일어서게 하는 힘
'하데스타운'이 명작으로 회자되는 이유는 고전 중 고전인 고대 신화를 현대에 맞추어 기가 막히는 비유와 상징으로 풀어냈기 때문이다. 인간과 신의 뛰어넘을 수 없는 벽이, 이 뮤지컬에선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로 설정돼있다. '자유'를 위해 벽을 세우고, 가난을 배척하자고 노래하는 자본의 속성은 끊임없이 진실을 호도하고 모두를 갈라놓는다. 서로를 의심하게 하고 자신이 누구인지 망각하게 하는 끔찍한 상황이 무대 위에 펼쳐지는 순간,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현실을 대입해 '나'의 위치를 되돌아보게 된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뮤지컬 '하데스타운' 공연 장면. [사진=에스엔코] 2024.07.25 jyyang@newspim.com |
오르페우스 신화의 결말은 정해져있다. 관객들은 대부분 그 사실을 알고 작품을 보러온다. 결말을 알면서도, 오르페우스는 다시 노래한다. 벽에도 귀가 있어 언제든 가능성은 남아있지만, 결국은 의심과 번뇌로 좌절하고 마는 인간의 나약함을 모두가 알고 있다.
그럼에도 다시 일어서자고 말하는 이 뮤지컬은 음악과 무대, 나아가 예술의 역할을 또 한번 돌아보게 한다. 생계라곤 관심없던 오르페우스가 진실을 부르짖기까지는 채 1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아무런 의도없는 순수한 예술 활동이 모두를 일깨울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는 점에서, 다시 노래해야 할 이유를 알게 된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