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KB증권에서 23일 카카오(035720)에 대해 '카나나로 흥하나'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53,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41.9%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카카오 리포트 주요내용
KB증권에서 카카오(035720)에 대해 '콘텐츠 자회사들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본업인 카카오톡 광고에서도 DA 지면을 늘릴 수 있는 여력이 부재하여, 신규 서비스 출시를 통한 혁신과 외형성장이 필수적. 이에 카카오는 오늘 열린 ‘if Kakao AI 2024’ 행사에서 대화 내용을 기억하여 상황과 맥락에 맞춘 초개인화 대화가 가능한 신규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를 공개. 카나나는 초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존 AI 서비스와 차별점을 강조할 예정. 카나나는 카카오톡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신규 앱으로 출시되어 개인정보보호 이슈에서도 자유로움. 다만 카나나의 구체적인 출시 일정, 수익 창출 방법 등은 공개되지 않아 펀더멘털 기여도를 예측하기 어려운 점은 아쉬움'라고 분석했다.
또한 KB증권에서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 9,573억원 (-2.7% YoY, -2.4% QoQ), 영업이익은 1,104억원 (-11.2% YoY, -17.6% QoQ, 영업이익률 5.6%)을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1,268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플랫폼 매출액 +4.5% YoY, 콘텐츠 매출액 -8.3% YoY, 영업이익률 -0.5%p YoY 예상. 목표주가를 기존 58,000원에서 53,000원으로 8.6%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 광고 업황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오픈채팅탭 신설 (2023년 5월)에 따른 인벤토리 확장 효과가 사라지고, 콘텐츠 자회사들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2024년과 2025년의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11.0%, 6.7% 하향 조정한 것이 목표주가 하향의 주된 원인'라고 밝혔다.
◆ 카카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58,000원 -> 53,000원(-8.6%)
- K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KB증권 이선화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53,000원은 2024년 07월 04일 발행된 K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58,000원 대비 -8.6% 감소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K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3년 11월 10일 65,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24년 02월 16일 최고 목표가인 75,000원을 제시하였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다소 하락하여 최근 1년 중 최저 목표가인 53,000원을 제시하였다.
◆ 카카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51,957원, KB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K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53,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51,957원 대비 2.0%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흥국증권의 67,000원 보다는 -20.9% 낮다. 이는 K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카카오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51,957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70,958원 대비 -26.8%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카카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카카오 리포트 주요내용
KB증권에서 카카오(035720)에 대해 '콘텐츠 자회사들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본업인 카카오톡 광고에서도 DA 지면을 늘릴 수 있는 여력이 부재하여, 신규 서비스 출시를 통한 혁신과 외형성장이 필수적. 이에 카카오는 오늘 열린 ‘if Kakao AI 2024’ 행사에서 대화 내용을 기억하여 상황과 맥락에 맞춘 초개인화 대화가 가능한 신규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를 공개. 카나나는 초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존 AI 서비스와 차별점을 강조할 예정. 카나나는 카카오톡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신규 앱으로 출시되어 개인정보보호 이슈에서도 자유로움. 다만 카나나의 구체적인 출시 일정, 수익 창출 방법 등은 공개되지 않아 펀더멘털 기여도를 예측하기 어려운 점은 아쉬움'라고 분석했다.
또한 KB증권에서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 9,573억원 (-2.7% YoY, -2.4% QoQ), 영업이익은 1,104억원 (-11.2% YoY, -17.6% QoQ, 영업이익률 5.6%)을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1,268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플랫폼 매출액 +4.5% YoY, 콘텐츠 매출액 -8.3% YoY, 영업이익률 -0.5%p YoY 예상. 목표주가를 기존 58,000원에서 53,000원으로 8.6%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 광고 업황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오픈채팅탭 신설 (2023년 5월)에 따른 인벤토리 확장 효과가 사라지고, 콘텐츠 자회사들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2024년과 2025년의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11.0%, 6.7% 하향 조정한 것이 목표주가 하향의 주된 원인'라고 밝혔다.
◆ 카카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58,000원 -> 53,000원(-8.6%)
- K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KB증권 이선화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53,000원은 2024년 07월 04일 발행된 K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58,000원 대비 -8.6% 감소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K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3년 11월 10일 65,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24년 02월 16일 최고 목표가인 75,000원을 제시하였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다소 하락하여 최근 1년 중 최저 목표가인 53,000원을 제시하였다.
◆ 카카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51,957원, KB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K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53,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51,957원 대비 2.0%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흥국증권의 67,000원 보다는 -20.9% 낮다. 이는 K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카카오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51,957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70,958원 대비 -26.8%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카카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