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구로구가 감독하는 한 생활폐기물 업체가 일부 노동자를 해고하면서 안정적인 고용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노동자들은 업체를 관리·감독하는 구로구청이 책임지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3일 오후 2시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민주일반노조)은 구로구청 앞에서 '구로구 생활폐기물 수거 청소노동자 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지난해 12월 31일 구로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업체인 원진환경이 콜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해고한 데 대한 항의 표시였다.
당시 콜센터 노동자 6명 중 3명은 근무 환경에 대한 불만을 터뜨렸다가 사직하게 됐다고 한다. 두 팀 중 한 팀에서 사측에 화장실 변기의 곰팡이 등 위생 문제를 지적했는데, 이후 문제를 제기한 팀 근로자 전원이 잘려 팀이 해체됐다는 주장이다.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2025.02.03 hello@newspim.com |
이들은 콜센터 직원뿐 아니라 폐기물 처리 노동자 140여명의 고용환경이 불안정해지는 게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민주일반노조에 따르면 해당 업체는 그 이전부터 기간제 노동자를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2023년부터 계약직 형태로 사람을 뽑기 시작했다. 민주일반노조는 업체가 한 노동자에게 노조 탈퇴를 종용했다고도 주장하고 나섰다.
김용수 구로구 환경지회장은 "환경미화 노동자는 상시적으로 필요한 인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구로구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고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상태인 데다가 사측의 마음에 따라 잘려나간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 상황에서 사고가 나거나 아프거나 다친다면 어떻게 마음대로 얘기할 수가 있겠냐. 계약직을 뽑는다는 건 죽은 듯이 시키는 대로 일하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날 전체의 4분의 1에 달하는 비정규직 직원들은 파업에 참여하지 못해 정규직 노동자들이 이들의 입장을 대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노조는 차기 계약에 참여하지 못할 것을 염려해 계약직 직원들이 나오지 못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민주일반노조는 원진환경에 업무를 위탁한 구로구청에도 변화를 촉구했다.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에 따르면 노동자의 고용승계와 고용유지를 구청이 감독해야 하는데도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김 지회장은 "구청이 고용을 안정시켜줘야 함에도 방관하고 있다. 장비값 대주고 업무지시도 내리는데 중간에 허수아비 세워서 발을 쏙 빼고 책임은 대행사에 지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환경미화노동자들이 하는 업무들이 사회에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하는 직군은 아니며, 대민 서비스 사업이다. 이들이 계약직이라면 서비스에 대한 질과 의무감, 책임감이 떨어질 것"이라며 "계약직을 없애는 거에 앞장서야 하고, 고용을 계약 기간인 3년 동안에는 유지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일반노조는 지난달 26일과 30일 조합원 토론을 진행하며 전면 파업에 돌입한 상태다. 현재 구로구청은 대화에는 응하고 있으나, 논의에 특별한 진전은 없는 상태라고 한다. 박정직 민주일반노조 조직부장은 "앞으로 조합원 토론 등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