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지수 3229.49(-21.11, -0.65%)
선전성분지수 10164.22(+8.15, +0.08%)
촹예반지수 2062.92(-0.90, -0.04%)
커촹반50지수 982.83(+27.74, +2.90%)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지난달 28일부터 4일까지의 춘제(春節, 중국 설) 연휴가 종료된 후 첫 번째 거래일인 5일 중국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과의 무역 전쟁 리스크로 인해 투자 심리가 악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날 상하이 종합지수는 0.65% 하락한 3229.49, 선전 성분 지수는 0.08% 상승한 10164.22, 촹예판 지수는 0.04% 하락한 2062.92로 장을 마감했다. 다만 IT 벤처 기업이 대거 상장돼 있는 커촹판 50지수는 딥시크 열풍의 영향으로 2.90% 상승했다.
미국이 지난 4일(미국 현지시간) 중국에 대해 10%의 보편 관세를 추가 부과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4일 일부 품목에 대해 보복 관세 방침을 공표했다. 중국의 보복 관세는 오는 10일 발효될 예정이다. 미·중 양국이 본격적으로 무역 전쟁을 개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통화는 성사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을 가지고 시 주석과 통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두 지도자 간의 통화가 성사됐다면 미·중 무역 갈등이 봉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통화가 무산되면서 이날 중국 증시에 관세 리스크가 부각됐고, 결국 지수는 하락으로 방향을 잡았다.
또한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 보호국이 5일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홍콩에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밝힌 점도 이날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중신젠터우(中信建投) 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춘제 전 중장기 기관 투자 자금 증시 진입 등의 정책이 발표되는 등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 있는 만큼 상승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며 "춘제 기간 소비 데이터가 양호했던 만큼 2월 증시는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5일 추이 |
이날 특징주로는 딥시크 관련주가 대폭등했다. 빙싱커지(並行科技), 페이리신(飛利信), 안카이웨이(安凯微) 등 20여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춘제 기간 동안 내내 중국에서는 딥시크가 초유의 화제를 끌면서 핫이슈로 부각됐다. 딥시크 관련 기사는 8일간의 춘제 연휴 기간 동안 쏟아져 나왔으며, 중국의 AI 실력이 대폭 상승했다는 평가들이 속출했다. 중국에 화웨이,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에 이은 또 하나의 빅테크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했다.
화웨이의 GPU(그래픽 처리 장치)인 어센드 관련주도 딥시크 관련주와 함께 동반 상승했다. 퉈웨이신시(拓維信息), 헝웨이커지(恆為科技), 카이푸윈(開普雲) 등이 상한가로 마감했다.
딥시크는 화웨이의 GPU인 어센드(성텅, 昇騰)를 기반으로 컴퓨팅하는 것으로 전해짐에 따라, 화웨이의 반도체가 시장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화웨이 클라우드 공식 계정에 따르면 화웨이는 딥시크와 함께 어센드 기반의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발표한 점도 관련주의 상승을 이끌었다.
한편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위안화 기준 환율을 달러당 7.1693 위안으로 고시했다. 전 거래일(7.1698) 대비 0.0005 위안 내린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1% 상승한 것이다.
중국 증시 자료사진[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