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유일 민간 협력사 자격으로 D4SME 정례 회의 참석
AI 기반 '카카오워크 2.0' 통해 중소기업 기술 지원 확대 예정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는 지난 10일 프랑스 파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본부에서 열린 'D4SME(Digital for SMEs Initiative)' 회의에 아시아 유일의 공식 민간 협력사로 참여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사례인 '프로젝트 단골'의 성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 카카오는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의 디지털화를 지원해 온 '프로젝트 단골'을 소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은화 카카오 상생사업 리더는 "지금까지 212개 전통시장과 15개 지역 상권을 지원했고, 지난해 우수시장으로 선정된 시장들은 각각 1만 명 이상의 단골 고객을 확보했다"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유통학회 공동 연구 결과, 프로젝트 참여 전통시장의 3년 평균 매출은 비참여 시장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 북촌 계동길 상인회 김용조 회장이 현장 발표자로 나서 세계 각국 정부와 플랫폼 기업, 학계 전문가들에게 실무 경험을 전했다. 김 회장은 "카카오 덕분에 하루 1만 명이 오가던 골목상권에서 온라인으로 5천 명 이상의 단골을 만들고, 상인들이 디지털 소통을 시작할 수 있었다"며, "디지털 전환의 계기가 됐고, 상인들이 디지털 도구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며 자신감을 얻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사례가 세계적으로도 널리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
지난 10일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D4SME 회의 현장. [사진=카카오] |
카카오는 이번 회의에서 디지털 기술 기반의 중소기업 지원 전략도 함께 발표했다. 카카오 단골만들기 지원센터는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을 연계해 안내하고 있으며, 자회사 디케이테크인을 통해 기술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올해 출시 예정인 기업용 솔루션 '카카오워크 2.0'에는 AI 업무 지원 기능을 추가해, 중소기업이 보다 쉽게 AI 기술을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김은화 리더는 "OECD 회의를 통해 카카오의 상생 모델이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이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 2019년부터 OECD D4SME 회의에 공식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으며, 카카오톡 채널 챗봇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 사례 등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 모델을 지속적으로 소개해오고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