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에프아이, 16일 과학기술컨벤션센터서 '모바일 게임 성공 사례 모음' 세미나 개최
게임 업계 전문가들 한자리에...'AI 활용'부터 '마케팅 전략'까지 공유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AI 시대에는 중급 이상의 전문성을 빠르게 갖추는 것이 생존전략입니다."
16일 게임 서버 플랫폼 '뒤끝'의 운영사인 에이에프아이가 서울 강남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2025 뒤끝 핫타임 – 모바일 게임 성공 사례 모음집' 세미나에서 게임 업계 전문가들은 ▲ AI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 게임 개발 전략 ▲ 소규모 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별화된 성장 방안 ▲ 유저 피드백 중심의 마케팅 설계 등을 생존전략으로 제시했다.
먼저, 최진영 리브라시스템즈 대표는 'AI 기술의 게임 제작 적용 사례'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장기화된 경기 침체 속에서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기술은 AI뿐"이라며, "실제로 아트 부문에서는 미드저니와 스테이블 디퓨전을 활용해 제작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 |
16일 서울 강남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뒤끝 핫타임 – 모바일 게임 성공 사례 모음집' 세미나 현장. [사진=양태훈 기자] |
최 대표는 "기획 단계에서도 GPT 같은 딥러닝 도구를 사용해 시장 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며, "개발 효율성과 유지 보수를 위해 코딩 컨벤션을 AI에 사전 설정하여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팁을 전했다.
또한 "AI는 아트, 기획, 개발 전 영역에 이미 깊이 관여하고 있다"며, "AI 시대에는 초급자, 중급자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될 것이다. 중급 이상의 전문성을 빠르게 갖추는 것이 AI 시대에 적응하는 생존전략"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박용진 룡게임즈 대표는 자사의 성공작 '퇴마검사 키우기'를 사례로 들어 소규모 방치형 게임의 성공 노하우를 공유했다.
![]() |
16일 서울 강남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뒤끝 핫타임 – 모바일 게임 성공 사례 모음집' 세미나 현장. [사진=양태훈 기자] |
박용진 대표는 "유저가 직관적으로 성장을 체감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성 시스템이 성공 비결 중 하나였던 것 같다"며, "특정 레벨에서는 모든 특성을 찍을 수 있게 만들어 성장을 자연스럽게 체감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룡게임즈가 개발한 모바일 방치형 RPG '퇴마검사 키우기'는 2023년 6월 정식 출시 이후 약 10개월간 누적 다운로드 16만 건, 매출 약 40억 원을 기록하며 소규모 개발사로서는 드물게 안정적인 성과를 거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박 대표는 소규모 팀일수록 "개발 효율성 향상을 위해 선택과 집중이 필수"라며, "기존 프로젝트의 리소스를 전략적으로 재활용하고, 외주를 통해 디자인 가이드를 확보하는 등 효율적인 개발 전략이 중요하다. 팀원들과 지속적으로 게임의 방향성을 공유하여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이고 개발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팁을 전했다.
강동식 어비스위즈 대표는 효과적인 마케팅 설계 전략을 중심으로 자사의 실전 노하우를 발표했다.
![]() |
16일 서울 강남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뒤끝 핫타임 – 모바일 게임 성공 사례 모음집' 세미나 현장. [사진=양태훈 기자] |
강 대표는 마케팅 전략의 핵심으로 '유저 피드백 기반의 콘텐츠 설계'를 강조했다. 그는 "반복적인 콘텐츠 제공이 유저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게임 초기 단계부터 다양한 콘텐츠의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저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콘텐츠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게임의 생명력을 연장할 수 있다"며 "콘텐츠 업데이트를 곧 마케팅의 연장선으로 바라보는 등 명확한 단계별 목표 설정과 긴밀한 유저 소통이 성공적인 운영 전략의 열쇠"라고 팁을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