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 내에서 오는 11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광다증권은 30일 보고서를 통해 미·중 양국 간의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11월 APEC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광다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3일부터 대중국 관세 인하와 미·중 간의 협상을 반복적으로 언급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보내는 일종의 화해 신호였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화해 신호를 보낸 원인으로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 ▲개별 국가들과의 관세 협상이 예상외로 순조롭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제기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 등 세 가지를 꼽았다.
미국의 화해 신호에 대해 중국은 진정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반복적으로 "미국이 대화를 원한다면 공평, 존중, 호혜의 원칙을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다"라는 입장을 내고 있다.
광다증권은 미·중 무역협상 과정이 순조롭지 않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압박 강도가 다시 올라가게 될 것이며, 이 경우 미·중 간의 기술 및 금융 분야의 리스크가 치솟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이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 압박책으로 미·중 조세협정과 인공지능 확산 협정 등을 꼽았다.
광다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은 2026년 중간선거를 대비해 늦어도 2026년 연초에는 중국과 무역협상을 타결지어야 한다"라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에 남은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관세 전쟁이 장기화되면 공화당의 핵심 지지 지역에서의 민심이 흔들릴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보고서는 장기적으로 중국이 미·중 관세 협상의 주도권을 쥘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이유는 두 가지다. 첫 번째는 미국의 글로벌 경제 영향력이 예전처럼 전 세계를 압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1985년 플라자 합의 당시 미국은 전 세계 GDP의 33%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4개국의 GDP 합은 25%였다.
2023년 기준으로 미국은 26%였고, 4개국의 합은 14.3%였다. 중국의 비중은 16.8%였다. 4개국과 중국의 비중을 합하면 31.1%로 미국을 넘어선다는 것.
두 번째 이유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 대한 대비를 해두었다는 것이다. 2020년 이후 중국은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 등에서 보수적인 운용을 해왔으며 이로 인해 충분한 정책 공간을 유보해 놓고 있다.
광다증권은 "중국의 경제 회복력과 거시 정책 대응력이 더욱 높기 때문에 협상 주도권은 중국에 있을 것"이라며 "낙관적인 상황이 전개된다면 오는 11월 한국 경주에서 두 정상이 대좌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 자리를 떠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