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마녀사냥 즉시 끝내야"
시장 반응은 잠잠...관세 경고 서한보다 관세 시행 연기에 '안도'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개국에 추가로 보낸 관세 서한을 공개했다. 특히 브라질에는 50% 관세율을 경고하며 정치적 이유를 들어 논란이 되고 있다.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브라질, 필리핀, 알제리, 리비아, 이라크, 브루나이, 몰도바, 스리랑카에 보낸 관세 서한을 공개했다.
서한은 오는 8월 1일부터 알제리와 리비아, 이라크, 스리랑카에는 30%, 브루나이와 몰도바에는 25%, 필리핀에는 2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관세율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에 발표한 수준과 대체로 비슷하지만, 필리핀은 17%에서 3% 포인트 올라갔고 브루나이는 24%에서 1% 포인트 상승했다.
알제리는 변화가 없었고, 스리랑카는 14% 포인트(44%→30%), 이라크는 9% 포인트(39→30%), 리비아는 1% 포인트(31%→30%), 몰도바는 6% 포인트(31%→25%)씩 각각 하향 조정됐다.
눈길을 끈 국가는 브라질로, 지난 4월 10%의 기본 관세만 적용했던 데서 무려 40%포인트 인상한 50%의 상호 관세율을 통보하면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 기소를 이유로 들었다.
'브라질의 트럼프'로 불리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에서 룰라 현 대통령에게 패한 이후 국방·법무부 장관 등과 함께 권력 유지를 목표로 한 각종 활동을 실행하려 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상태다.
![]() |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보낸 관세 서한 [사진=트럼프 트루스소셜] 2025.07.10 kwonjiun@newspim.com |
트럼프 대통령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이 재판은 열려서는 안 되고 마녀사냥을 즉시 끝내야 한다"고 했다.
브라질의 관세 및 비(非)관세 장벽을 문제 삼으며 미국이 브라질과 기존 무역 관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기업들의 디지털 교역 활동에 대한 '브라질의 계속된 공격과 다른 불공정 무역 관행'을 언급하며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브라질에 대한 조사를 즉시 시작할 것을 명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현 대통령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이 관세는 양국 관계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명시했는데, 룰라 대통령은 트럼프가 보우소나루 관련 사안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넣자, "브라질은 주권국가이며, 어떤 외부 간섭이나 지시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을 어떤 기준으로 정했느냐는 질문에, "상식, 무역적자, 우리가 수년간 어떻게 대우받았는지, 그리고 단순한 수치 기반의 공식(formula)"이라고 답했다.
야후 파이낸스는 지난 4월 당시 트럼프는 오로지 무역적자 규모만을 기준으로 관세율을 산정했었지만, 이번 브라질의 경우 4월 발표 당시 10% 관세에서 무려 5배나 오른 50% 관세가 부과되며 다른 기준도 적용되었음이 명확해졌다고 짚었다.
이번 발표는 지난 월요일 한국과 일본 등에 발송된 14통의 서한에 이어진 것으로, 이번 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이 공격적인 수사와 함께 관세 정책을 대거 발표하고 있는 흐름의 연장선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일련의 관세 서한 발송에도 시장 반응은 비교적 잠잠한 편이다. 각국에 발송된 서한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주의 관세' 시행 시한을 약 3주 연기하겠다고 행정명령을 통해 밝힌 것이 시장을 안심시킨 것이란 분석이다.
전직 미 무역협상가이자 현재 아시아소사이어티 소속인 웬디 커틀러는 이날 야후 파이낸스 생방송에 출연해 "무역 협상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며, 수십 개 국가와 동시에 협상한다는 개념 자체가 협상팀의 역량을 분산시키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커틀러는 이어 "8월 1일이 다음 기한이지만, 대통령이 '더 이상의 연기는 없다'고 말하고 있음에도 무역 파트너국들은 이 사안이 계속해서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