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보안공사 부사장 홍춘호
중도매인의 파산, 그리고 미회수 대금 손실을 둘러싼 부산 공동어시장 전 대표의 구속 사건이 수산업계 전반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개인의 일탈이 아닌, 오랜 기간 누적된 구조적 문제와 불투명한 관행이 빚어낸 결과로 평가받는다.
![]() |
홍춘호 부산항보안공사 부사장 |
부산 공동어시장의 내부 결제 처리 방식에는 여러 허점이 존재해왔다. 중도매인이 선사로부터 어획물을 공급받은 뒤, 15일 이내 정산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담보 한도 설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담보 없는 거래, 친분 관계 기반의 신용허용 등은 예외가 아닌 관행으로 자리잡았다.
이로 인해 사고 위험이 상존했고, 대손충당금으로 리스크를 임시 봉합하는 소극적 재무관리 관행이 이어졌다. 수기 방식의 거래, 내부 규정 미비 등 역시 투명성 문제를 악화시켰다. 대표 구속이라는 극단적 결과는 개인의 책임을 넘어 제도 미비와 관행적 경영의 단면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수산업계 내에서는 구조적 안정성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전산시스템 도입 확대, 신용거래한도제 도입, 내부감시 체계강화 등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근본적 시스템 개선 없이 정상화는 불가능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제는 미회수 대금, 재무위험 통제 미흡 등의 문제가 더는 반복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개선과 변화를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앞으로의 수산업계 혁신, 그리고 유사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는 ▲실시간 투명한 감시 시스템의 법적 의무화 ▲예방에 초점을 둔 조직체계와 내부·외부 견제 시스템 제도화 ▲명확한 규정, 강력한 집행력,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와 감시 문화 정착 등이 손꼽힌다.
이러한 변화가 결실을 맺으려면, 업계와 당국, 현장 이해관계자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이 뒷받침돼야 한다. 명확한 기준과 원칙 위에 선 시장만이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